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바닷물에 식물이나 동물 플랑크톤이 부족한 상태로 1~2년간 고립된 채 유지된다면 에디
내부
의 생태계가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경 100km가 넘는 에디라면 그 피해는 더욱 커진다.해양물리학자들은 에디의 생성과 특성, 소멸 등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한번 생겨난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사이의 공간, 초콜릿 사이의 공간은 공기가 아닌 액체가 가득 차 있어야 한다. 엽록체
내부
가 그러하니까. 틸라코이드 막에는 엽록소라는 화합물을 가진 광계라는 단백질이 있다. 이곳에서 빛을 이용해 물을 분해하는 대단한 반응이 일어난다.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는 이 조그마한 부분이 빛을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약 100억 년 안팎으로 살 수 있는 것에 비해 큰 별들은 1000만 년 정도로 짧게 산다. 하지만
내부
가 워낙 고온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산소보다 무거운 원소도 연료로 쓸 수 있고 다양한 핵융합반응을 통해 무거운 원소들을 만든다. 철까지 만든 후 무거운 별들은 초신성 폭발을 한다. 철보다 무거운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견해가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포식자가 섭취한 원시 세균들이 죽지 않고 포식자
내부
에서 새로운 역할을 맡으며 공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전정보를 갖게 되는 생물체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와편모류는 실제로 사용하는 유전정보가 0.01%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엄청난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보낸 논문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는 일반상대성 이론을 이용해 별의 외부와
내부
의 시공간 곡률을 계산했는데 그 결과 이상한 결론이 나왔다. 즉 태양질량의 별이 수축해 반지름이 3km에 이르는 순간 중력이 어느 선을 넘어서면서 표면에서 시간은 무한대로 길어지고 빛은 탈출할 수 없다는 것. 이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연구실 한 곳에는 16개의 HD급 모니터가 한쪽 벽을 차지하고 있었다. 모니터 위에는
내부
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있다. 다른 실험실에도 같은 시설이 있다면 16개의 모니터를 통해 유리로 된 벽을 보듯 마치 실험실 두 개가 붙어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지금은 시범적으로 같은 시설이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잇는 거가대교는 일부 구간이 세계 최장 침매터널로 이뤄져 있다.일본 세이칸터널
내부
모습. 건설 중 방수에 실패해 작업 인부 몇명이 목숨을 잃었다. 해저터널을 뚫는 방법에는 발파와 기계굴착방법이 있다. 사진은 기계굴착방식에 사용되는 TBM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 미션 ... ...
x-ray 숨은 그림을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꿰뚫어보지 못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리라, 그는 용기가 생겼다.베시는 “사물의
내부
를 하나하나 들여다볼 때마다 놀라웠다”면서 “X선 작품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겉을 보고 속을 판단할 수 없음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는 “사람이든 사물이든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는 현대인에게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작용하게 된다. 레이저빔을 맞은 뒤에도 관성 때문에 캡슐은 계속 팽창한다. 이때
내부
밀도는 납의 100배인 약 1000g/cm3에 이르게 된다. 그래서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을 ‘관성 밀폐 방식’이라고 한다. 192개의 초강력 레이저로 인공태양을 점화하라레이저 핵융합은 인공태양이 점화되는 순간 한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바닥에서 드릴을 이용해 수심 1000m까지 해저지각을 뚫고 들어간다. 그런 다음, 시추공
내부
의 물을 뽑아내 지층의 압력을 낮춰준다(감압). 압력이 충분히 떨어지면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녹으면서 가스와 물이 생긴다. 이를 위로 빨아올린 다음 가스만 분리해내면 된다. 감압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