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열을 통해 설명할수 있는 규칙을 찾아보도록 해요!(※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 정부(과학기술진흥기금/복권기금)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성과물입니다) 자기소개 부탁해요!경기도 안양시에 사는 연현중학교 1학년 박성현입니다. 저는 수학과 독서를 좋아하는데요, ...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모의 훈련이 매년 열리기 시작했어요. 대전 등에 소행성이 떨어질 것을 가정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방청 등과 함께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점검하고 연습하지요. 조성기 우주위험연구실 실장은 “발견되지 않은 소행성은 내일 당장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다”며, “전 인류가 힘써 추락에 ... ...
- 괭이갈매기 알 1600개 훔쳐간 도둑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사건 발생, 사건 발생! 전 대원은 난도로 출동 바람’ 괭이갈매기 경찰대에 사건이 접수됐어요. 충청남도 태안 난도에서 수많은 괭이갈매기 부부의 알이 없 ... , 이장호 연구관(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자연환경연구과), 홍상희 책임연구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해성분석센터 ... ...
-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같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알 1600개를 국립공원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세 곳에 연구목적으로 기증했답니다. 괭이갈매기는 원래 새우나 멸치 등 단백질 위주의 먹이를 먹어요.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새우깡이 이들에게 좋은 영양분이 될 리가 없지요. 갈매기는 학습능력이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태어나 생명윤리 논란을 야기했다.많은 성과를 낳은 또 한 번의 10년이 마무리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성과는 시계 태엽처럼 딱딱 맞춰서 움직이지 않는다. 연구개발(R&D)의 성공 뒤에는 쉽게 세기 힘들 정도로 거듭된 도전과 실패가 쌓여있다. 그래서 이듬해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쓸모 있는 물건은 이마트에 가서 찾으세요.”쓸모없는 물건을 만든다고 당당히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쓸모는 없을지언정 반드시 재미는 있는 물건들을 만들죠. 그 주인공은 바로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긱블’입니다. 긱블은 자신들이 직접 기획하고 제작한 물건들을 영상에 담아 업로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귀금속 하면 금, 금 하면 귀금속...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줄곧 금은 귀금속의 대명사였다. 금이 비단 귀금속으로써의 가치만 지닌 것은 아니다. 사실 금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맹활약해온, 그리고 앞으로 더욱 빛날, 인류를 위한 진정한 보물이다. 안정적이어서 아름다운, 귀금속의 대명사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러시아 모스크바에 한러 공동설계사무소를 열던 2005년, 협력사인 흐루니체프의 살류트 설계국에서는 나로호(KSLV-I) 1단에 들어갈 부품 설계를 막 시작하고 있었다. 산화제 탱크와 연료 탱크, 주 엔진 등이 들어간 나로호의 1단 동체를 개발하는 것은 러시아의 극비 기술이기에 설계는 삼엄한 경비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에는 거대한 냉장고 4대가 놓여 있다. 냉장고 안에는 음식 대신 이차전지가 빼곡하게 들어차 있다. 이 교수는 “한번 쓰고 버려야 하는 일차전지와 달리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차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결정하는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연구를 처음 시작할 당시의 이야기부터 꺼냈다.EPICA가 마무리되던, 그리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 소속된 극지연구센터에서 독립적으로 운영을 할 수 있는 극지연구소로 승격했던 2004년, 빙하코어 시추 연구도 국내에서 처음 시작됐다. 당시 북극다산과학기지와 남극세종기지를 운영하고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