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부"(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자동차는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요? 엘리베이터는 어떤 힘으로 오르내릴 수 있을까요? 다양한 기계들의 기본 원리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는 곳이 있어요. 눈 ... 아이디어도 나올 수 있답니다. 제가 지난 해 특허를 15개나 낼 수 있었던 비결이지요. 공부를 게임처럼 즐기는 어린이가 되세요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의견을 내는 데 주저함이 없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느꼈어요.”WSCI에 참가한 학생들이 공부만 한 것은 아니다. 학생들은 예루살렘의 역사 유적지와 이스라엘의 경제 도시인 텔아비브를 방문해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이스라엘의 팔색조 매력에 푹 빠졌다. 폐회 전날 밤인 19일에는 텔아비브의 해변에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보니 전보다 아주 많이(?) 친해졌거든요. 때맞춰 세상도 참 편해졌습니다. 밤새 시험 공부를 할 때도, 딱히 데이트하러 갈 데가 없을 때도, 영화 한편 보고 싶을 때도 자놀자 오달수 선생을 부르면 됩니다. 무슨 얘기인지 모르겠다고요? 음, 당신을 때묻지 않은 순수한 영혼으로 임명합니다. 쾅쾅.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쓸 수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 30대 초반부터 야생화에 관심을 가져 우리나라 식물을 공부해놓은 덕을 지금 톡톡히 보고 있는 셈이다. 곤충의 한살이를 다루면서 식물을 떼놓고 이야기할 수는 없는 법이니까.파브르와 한 가지 차이가 있다면 돋보기와 몽당연필 대신 카메라를 들었다는 점일 테다.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와 , 그리고 은 이상설이 서양의 근대 화학과 물리학을 공부하며 쓴 책이다. 이로써 한국과학사에서도 이상설의 의미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1880년대 중반부터 일제에 강제 합병되던 1910년 사이에 우리말로 된 60여 권 이상의 근대 수학 교재가 나왔고, 그 책으로 근대 ...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유용한 기술이랍니다.Q 박사님처럼 물 공학자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나요?과학 공부를 열심히 하세요. 물을 깨끗하게 하고 환경을 지키는 기술은 대부분 과학적인 원리로 만들어지거든요. 자연과 친해지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 것도 중요해요. 그래야 환경을 깨끗하게 지키는 일을 하는 데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채우는 테트리스는 수학적 원리를 이용해서 만들었습니다. 수학과 물리를 열심히 공부하면 게임도 잘 만들 수 있겠지요?또한, 게임 대상 연령을 정하는 것도 빠지면 안돼요.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게임인지, 중고등학생 이상이 이용할 수 있는 게임인지 등급을 정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레벨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는 대부분의 시간을 컴퓨터 앞에서 보낸다. 이 분야에서 수학은 필수다. 나는 생물학을 공부했지만, 이 분야에서는 통계와 수학에 익숙해지는 게 ‘매우매우(extremely)’ 중요하다.아메리카인의 기원에 대한 논란이 유독 시끄러운 것 같다. 특별히 신대륙인의 기원이 논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하 엄) : 포커라면 이승진 박사의 전문분야다. 미국에서 학위를 딸 때 취미삼아 포커 공부도 많이 했다고 한다.이승진 박사(이하 이) : 그럼 간단한 포커게임부터 소개해 보겠다. AKQ 포커라는 게임이다.송 : 카드가 세 장뿐이기 때문에 분석할 것도 없고, 운도 크게 작용할 것 같다.엄 : 내쉬균형으로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과학적 근거가 필요했다. 김 교수는 “자신의 주장을 설득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산학 공부가 필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쟁에서 계속 밀린 문인들은 더 높은 관직으로 오르기가 어려웠다”며 “결국 조선시대에도 산학은 승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학문 중 하나였다”고 덧붙였다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