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신이치가 줄곧 이긴다. 대체 어떻게 된 걸까?바로 리플 셔플에 숨겨진 ‘합동★’의 개념 때문이다. 합동이란 정수론에 등장하는 용어로, 정수 a와 b의 차가 정수 m으로 나눠떨어질 때 쓰는 표현이다. a와 b를 두고 mod m에서 합동이라고 한다. 합동이면 a와 b를 각각 m으로 나눈 나머지도 같다.그렇다면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유클리드의 사상을 그대로 본받았다.수학의 실체그런데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공리라는 개념을 별로 안 좋아한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도 친한 매트 치버스가 작품의 이름을 그렇게 정한 데 대해서 적잖이 놀랐다. 그런데 그 덕에 스스로 동기를 검사해 볼 기회가 생겼다. 그 결과 공리에 대한 집착이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것은 1970년부터다. 숭실대는 그 해 국내 최초로 전자계산학과를 창설했다. 컴퓨터에 대한 개념이 무척 낯설던 시기다. 하지만 숭실대의 실용적인 도전은 큰 성공을 거둬 IT는 현재 숭실대를 대표하는 분야가 됐다. 뛰어난 IT인프라를 바탕으로 1997년에는 우리나라 대학 최초로 당시 정보통신부지원 ...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슈뢰딩거의 고양이처럼요.양자역학은 동네북주장하는 바를 살펴보면 결국 양자역학의 개념을 피상적으로, 그리고 상당 부분 틀린 상태로 가져다 쓴 겁니다. 양자의학이 현대의학과 다른 점이라고 ‘통합주의 의학’, ‘4차원적 의학’, ‘환자 중심 의학’, ‘마음을 중시하는 유기체 의학’ 등을 ... ...
- 바닥에서 요동치지 않는 샤워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신하가 고민에 빠졌는데, 이때 한 발명가가 가죽 신발을 만들어 왕을 기쁘게 했다는. 신개념 샤워기 헤드를 개발한 배선규 비앤홈스 대표의 이야기를 듣고 나면 이 동화 속 발명가가 떠오른다.“세수대야에 물을 받으려고 샤워기를 내려놨을 때, 수압 때문에 샤워기가 요동치는 게 너무 불편했어요.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하자 민코프스키는 이를 기하학적인 4차원의 시공간 개념으로 봤다. 아인슈타인은 스승의 수학적인 재해석을 전해 듣고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민코프스키의 새로운 해석은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었다. 아인슈타인도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관성가둠(116쪽) 방식과, 자기장을 사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자장가둠(118 및 120쪽) 개념으로 각각 발전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들 방식은 지금도 핵융합을 실현시킬 최종 후보로 꼽히고 있다. 과연 누가 에너지의 최종 왕좌를 차지할까. 나용수_ysna@snu.ac.kr서울대 원자핵공학과와 동 대학원을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사람 머릿속 뉴런을 모방해 병렬적인 계산을 합니다.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 개념을 이용해 계산 속도를 엄청나게 발전시킬 것입니다. 여러분이 컴퓨터공학부를 졸업해 현장에서 일할 때면 이런 컴퓨터와 함께 일하게 될지도 모르겠네요.Q 선배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A 공부에 뜻이 있다면 ...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콜모고로프(1903~1987)★ 확률론을 정립한 러시아의 수학자. 1933년 출간한 에서 기본적인 공리를 도입해 확률론 체계를 세웠다.수학자, 고흐의 모사품을 선별하다!최근 예술과 과학의 분야로만 생각하기 쉬운 그림 복원에도 수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2007년 릭 존슨 코넬대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파악하는 것은 당연히 어렵다. 또 그런 어려움이 현재도 과학자들로 하여금 양자세계의 개념적인 이해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인상을 갖게 만드는 게 사실이다. 이런 문제를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재검하려는 노력 중 하나가 바로 요새 자주 이야기되고 있는 초대칭성 이론이다. 이처럼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