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포츠가 건강 파괴할 수도
과학동아
l
199307
활성산소는 주변 물질과 반응하고 싶어하는 성질이 무척 강하다. 그래서 세포막이나
DNA
를 직접 상하게 하거나 과산화지질 등을 만들어 간접적으로 해를 입히는 등 인체내에서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하나하나 밝혀져 왔다.미국 네브라스카대 딘험 허먼 교수는 지난 1956년 세포내의 ... ...
1. 인간의 혈액형은 400가지 이상
과학동아
l
199307
Y염색체이다. 유전자(gene)란 ABO혈액형 등의 어떤 성상(character)의 유전을 결정하는 염색체
DNA
의 일부분을 말한다. ABO혈액형의 A와 B 유전자처럼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유전자를 대립유전자(allele)라 한다.혈액형이 A라는 것은 A라는 표현형(phenotype)을 가졌음을 말하며 갈은 표현형이라도 유전자형(genotype ...
포유류처럼 체온 가진 물고기 있다
과학동아
l
199307
나타나는 유전자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검토하는 형태학적 작업을 수행했다. 각 종의
DNA
를 낱낱이 조사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들 어류의 새로운 진화사 도표를 작성했다. 그리고는 온혈 어류가 출현한 분기점을 밝혔다. 각각의 온혈 어류가 발견되는 각 분기점에서 그 온혈 어류와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07
실제 모습을 근거로 컴퓨터그래픽으로 순화시킨 것. 인체탐험에는 세포속으로 들어가
DNA
의 이중나선구조도 관찰하는 과정이 포함돼 있다.마지막으로는 인체의 사령부인 뇌속을 들여다보고 시신경을 통해 바깥 세상으로 빠져 나온다. 눈을 빠져 나온 카메라는 엑스포장 상공을 거쳐 한반도를 ... ...
치타, 빙하기 멸종위기서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307
거의 유전적 변화가 없음을 밝혀냈다. 이들에 따르면 원래 동물의 유전적 변이는
DNA
가 무작위로 상호작용을 일으킬 때 일어나는 것인데, 치타들간에 거의 유전적 변화가 없다는 것은 어느 때인가 대부분이 괴멸되고 극소수만이 살아남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말한다.이들은 이같은 현상을 '유전자 ... ...
생물종 보존에 냉동저장법 제안
과학동아
l
199306
모르지만 거의 대부분은 죽을 것이다. 그러나 세포내의
DNA
는 100% 보존될 것이다. 후에
DNA
를 살아 있는 세포에 주입하면 절멸된 생물종을 복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방법도 약정이 있다. 냉동된 표본으로부터 전체 종의 정보를 어느 정도까지 얻을 수 있을까라는 점이다." 벤포드의 말처럼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05
할 것이다.전자산업의 혁명을 몰고온 트랜지스터의 발명, 그리고 유전공학의 싹을 틔운
DNA
의 이중나선구조 발견과 맞먹는 중대한 계기가 필요한 것이 현재의 마이크로 머신 분야다. 과연 그러한 계기가 무엇이 될지 현재로선 추측하기 어렵다. 이제 막 첫 걸음을 내디뎠으며 아직 개념조차 확실히 ... ...
「헌팅톤 무도병」 유전자 비밀 밝혀져
과학동아
l
199305
연구자들은 인간의 세포에 있는 23쌍의 염색체중 4번 염색체의 윗부분에 달려있는
DNA
조각에서 무도병의 단서가 되는 표시를 찾아냈다. 유전자의 위치를 발견한 다음 단계의 연구는 이 유전자가 어떤 방식으로 단백질을 만들며, 왜 유전자 내에서 돌연변이와 같은 팽장이 일어나 그 같은 이상증세를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05
바로 이 핵산을 연구 했다. 그곳에서 그는 '우리나라 사람으로서는 처음으로'
DNA
를 합성하고 유전공학적 실험을 하다보니 "어느 날부터인가 전문가가 되어 있었다"고 한다."그때 유전공학을 공부하지 않았더라면 평생 후회할 뻔 했습니다. 게다가 '어떤 어떤 학문이 붐이다'라고 할 때, 그때부터 ... ...
2030 뉴로컴퓨터
과학동아
l
199304
현재의 VLSI기술은 머리카락 굵기의 선에 1천여개의 구별되는 정보를 심을 수 있지만
DNA
분자 수준이면 1백만 여개의 정보가 담겨진다. 따라서 집적도의 비율은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유기분자가 높다. 예를 들면 아데닌과 티민이 결합된 한 단위의 크기는 약 11.1옹스트롬(${10}^{-8}$cm)이고 그 사이는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