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2,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절한 최초의 복제양 돌리 복제강국 한국에 던지는 메시지
과학동아
l
200303
세계 최초의 복제동물 돌리가 지난 2월 안락사를 맞았다. 양의 평균 수명이 12년이니
정상
수명의 절반밖에 살지 못한 셈이다. 돌리의 출생 이후 복제의 이상징후와 그 원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됐다. 복제동물은 무엇이 문제인지 추적해보자. 이와 함께 국내 동물복제는 어떻게 진행되고 ... ...
① 돌리는 태어날 때부터 6살이었다?
과학동아
l
200303
11.3%) 내부세포덩어리 외에 다른 부분에서도 발현되는 비
정상
적인 형태(54.7%)를 보였다.
정상
적으로 유전자가 발현돼도 일반적인 수정란에 비해서는 발현율이 낮았다. 연구진은 결국 복제된 쥐의 배아 중 Oct-4 유전자가 계속된 발생과정을 감당할 만큼 제대로 발현된 경우는 10%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03
남하해 서식하다가 지구가 더워지면서 서서히 높은 고도로 밀려나 지금은 백두산
정상
부근에만 서식하고 있다 계속해서 지구가 더워지면 이 꽃은 더욱 높은 고도로 이동하다가 결국 멸종할 것으로 염려되는 귀한 식물이다영국의 수학자인 앨런 튜링이 1936년 발표한 가상의 자동기계 테이프에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03
가는 과정 등은 모두 이 뇌하수체의 작용이다 따라서 만일 여기에 어떤 이상이 생기면
정상
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뇌하수체의 형태는 타원체로 단단하며 길이 09∼11cm, 너비 07∼09cm, 무게 07∼08g 정도이다 얼굴을 앞이라고 하면, 뇌하수체를 앞쪽부터 전엽 중엽 후엽의 세부분으로 나눌 수 ... ...
기초연구에서 제품개발까지 산학연의 지휘자 서상희 단장
과학동아
l
200303
이와는 좀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단은 10년 뒤 우리나라가 세계
정상
급 기술을 갖고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사업단은 그 중간 단계에서 실용화될 기술개발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특히 5-10년 내 실용화가 가능한 연구과제가 사업단에서 큰 ... ...
공항 검색대 X선이 찾아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303
그 판사가 두가지 초콜릿을 모두 먹는다면, 아트로핀 중독으로 죽어가면서도 맥박은
정상
을 유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사인 규명이 매우 어려워진다는 것이 야누시 박사의 계획이었다.야누시 박사는 발렌타인데이에 맞춰 초콜릿 상자를 판사에게 보냈고, 공교롭게도 판사 부인이 아트로핀으로 ... ...
인터넷 대란 또 올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03
막을 수 있는 ‘재감염 방지’ 단계가 불가능하다. 즉 e메일과 파일전송 등 컴퓨터를
정상
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항상 바이러스의 감염에 노출돼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그때그때마다 진단과 치료를 하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웜의 경우는 침입 경로(버그)가 파악되고,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03
“1~2년 안에 승인 결정이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복제소 인공수정율
정상
소의 절반복제소가 우량하다고 하지만 탄생 과정에서 효율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다. 일반 소에서 인공수정을 한 뒤 새끼가 태어날 확률이 35% 정도인데 복제소는 10% 정도다. 복제 동물은 인공수정을 해도 착상이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
과학동아
l
200303
이 줄기세포는 당연히 면역력을 갖추지 못한다. 그런데 연구팀은 이 줄기세포에
정상
적인 면역 기능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삽입하고, 이를 애초의 면역성 결핍 생쥐에 이식했다. 흥미롭게도 이 생쥐는 면역력을 갖추게 됐다.한용만 박사는 “만일 이 실험이 인간에게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면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03
오해할 만도 했다. 실제로 가자미 두마리를 놓고 봤을 때, 배를 마주해 겹쳐 놓는 편이
정상
적인 물고기에 더 가까운 모습일 것이다. 결국 가자미류의 특이한 생김새와 이를 관찰한 사람의 부 정확한 내용 전달이 비목어라는 전설상의 물고기를 탄생 시킨 것이다.고루한 중국 학풍에 통쾌한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