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애즈택 여왕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과연 누가 알을 낳느냐를 알기 위해 여왕개미들이 먹는 음식에 각기 다른 색소를 섞었다.
결과
는 신기할 정도로 아름다웠다. 다른 색의 음식을 먹은 여왕들이 모두 다른 색의 알을 낳은 것이다. 여왕개미들이 모두 협동해 알을 기른다는 명확한 증거였다. 실험실에서 마무리 일단 야외에서 대략적인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위에 B단위체를 중합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둘째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컴퓨터로 처리한
결과
를 그래프나 도형으로 표시하기 위한 CRT 표시장치 하드웨어 장치의 하나로서 문자·기호·도형 등을 TV와 같이 영상으로 출력하고 필요에 따라 라이트펜으로 화면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추가 입력시킬 수 ... ...
2. 모자형 재킷형 손목시계형 PC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해라는 식의 명령을 받고서야 움직이는 폰노이만형 컴퓨터 대신, 인공지능이 판단하고
결과
를 추론해 인간의 작업을 도와주는 차세대 컴퓨터의 등장은 이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한다.반도체 기술의 일반 예측대로라면 2000년에는 수천만 혹은 수억개의 소자를 갖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10억 소자의 ... ...
공포의 식중독 일으키는 O-157 대장균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베로톡신에만 달라붙어 독소를 변으로 배출하게 한다. 또 건강한 사람에게 투여한
결과
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베로톡신에만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진주 경상대에서도 오-157에서 분리한 베로톡신을 유전공학적으로 조작해 독성을 감소시키는 예방백신을 개발하고 있다.세계보건기구는 오 ... ...
뇌가 알칼리성일수록 IQ 높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면 IQ와도 연관되지 않을까 예측하는 학자도 있다.하지만 이 연구
결과
는 두가지 요소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을 밝힌 것일 뿐이다. 즉 뇌세포의 산성도가 IQ의 높고 낮음에 작용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증거는 제시되지 못했다 ... ...
환경에 예민한 해초의 번식전략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실험실에서 난류 등을 통해 거친 바다를 재현한
결과
암수 모두 그들의 배우자를 꼭 붙들고 놔주지 않았다. 그러나 물결이 잠잠해지자 그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배우자를 방출했고 정자와 난자는 거의 100% 결합에 성공했다.그렇다면 그들은 어떻게 바다의 상태를 ... ...
인과율을 조롱하는 영화적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시스템즈에서 스카이넷을 개발하게 된 것은 미래에서 온 터미네이터(T-800)의 칩을 연구한
결과
다. 스카이넷 개발을 주도한 마일즈 다이슨은 이렇게 말했다. “수십 년 앞선 미래의 기술이 우리를 놀랍게 발전시켰다.” 2029년 스카이넷이 T-800을 1984년으로 보내지 않았다면, 스카이넷 자신도 세상에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위한 각종 국제회의가 본격적으로 열린 것도 이 사고 이후다.이 가운데 가장 괄목할
결과
물은 ‘국제 빙산 패트롤’(IIP, International Ice Patrol)의 결성이다. 1914년 미국 해안경비대를 주축으로 유럽국가들과 캐나다 등이 함께 결성한 이 기구는 매년 2월부터 8월까지 대서양 지역, 특히 뉴펀들랜드 남동부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자기장이 있다는 것이다. 이 자기장은 태양계 내 위성들 가운데 처음 발견된 것으로 그
결과
를 살펴보던 과학자들을 긴장시켰다.갈릴레오는 지난 9월 6일 두번째로 가니메데에 접근했다. 이때 탐사선은 가니메데 상공을 불과 1백55km의 낮은 고도로 비행했는데, 이것은 지난 1차 접근(6월 27일)의 8백5 ... ...
3. 구강청결 단맛 내며 충치 예방하는 껌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약리효과를 가진 껌을 상용하면 오히려 구강내 세균의 평형상태가 깨질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외부 병원균과 싸워 몸을 보호해줄 세균이 줄어들어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또 신경계통을 자극하는 효과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졸음을 깨게 한다는 껌에 커피 성분이나 ... ...
이전
1337
1338
1339
1340
1341
1342
1343
1344
1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