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스페셜
"
생명
"(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연구 심의 절차 1주일내로 단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서두르기 위해 연구 심의 기간을 1주일 이내로 단축하기로 했다. 연구기관 자체 기관
생명
윤리위원회(IRB) 심의가 1~2개월이 걸리지만 공용 IRB로 진행해 심의 시간을 대폭 단축하겠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IRB 심의 면제를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정부는 24일 제1차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 ...
코로나19 발원지 비난 받아도 건진 것 있다…바이러스 기초연구 속도내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과 장혜식 연구위원, 질병관리본부팀이 9일
생명
과학분야 국제학술지 ‘셀’에 공개한 게놈 및 하위게놈 구조 연구 정도가 바이러스의 근본적인 특성을 새롭게 밝히고, 이를 통해 진단법을 개선하거나 치료제 후보물질이 될 표적을 발굴할 수 있는 기초 ... ...
유럽도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기지개…英 23일 착수 獨도 이달 말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유전물질인 리보핵산(RNA) 기반의 백신을 개발해 임상 1상을 시작했고, 중국군사과학원과
생명
공학기업 캔시노가 다른 바이러스 게놈에 목표 유전자를 삽입해 인체에 주입하는 방식(바이러스 벡터)을 실험 중이다. 미국 이노비오는 DNA를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을 만들어내는 방식의 백신을 개발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워크샵에서 생리학자로 살아온 자신의 경험을 보태 생물공학과
생명
과학이 어떻게 조화롭게 실험실에서 만나야 하는지를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되먹임 시스템이라는 공학의 주제를 생리학이 오래전부터 다루고 있었다는 점을 생물공학자들에게 알려주기 ... ...
코로나19 등 감염병 예방 R&D에 2029년까지 6240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미래 농업 기술과 현장 수요 실용화 등 농업 R&D 성과 극대화를 담은 ‘제4차 농업
생명
공학육성 중장기기본계획 2020년도 시행계획’, 감염병·치매 등 미래 사회 환경에 적극 대응하는 보건의료 R&D 투자계획을 담은 ‘제2차 보건의료기술 육성기본계획 2020년도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 ... ...
"인터페론 투여하면 신종 코로나 감염증 악화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0.04.22
감염되는지 알고 나면 그런 세포가 어떤 생리 작용을 하고, 그런 세포 안에 바이러스의
생명
주기에 중요한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을 파고들게 된다"라면서 "연구 결과는 현존하는 약제 가운데 어떤 것이 그런 세포 작용에 맞는지를 가려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혈압 치료에 ... ...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주변 전역에서 이뤄진 고대 농업 기술은 반건조 지역에서
생명
을 다시 불어넣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자이(Zai)’로 불리는 전통적인 관습은 1980년 부르키나 파소에서 부활했다. 우기가 오기 전 땅에 작은 구덩이를 파고 퇴비와 비료를 넣은 뒤 씨를 심는 방법이다. 이는 ... ...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열망 크지만..."안전성·장기화 고려 차분한 대비 필요"
2020.04.22
유전물질인 리보핵산(RNA) 기반의 백신을 개발해 임상 1상을 시작했고, 중국군사과학원과
생명
공학기업 캔시노가 다른 바이러스 게놈에 목표 유전자를 삽입해 인체에 주입하는 방식(바이러스 벡터)을 실험 중이다. 미국 이노비오는 DNA를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을 만들어내는 방식의 백신을 개발해 ... ...
수소차 센서·줄기세포·4차산업혁명 전문가들 훈포장…과학정보통신의 날 빛낸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한국줄기세포학회 회장과 이사장을 역임하며
생명
과학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해 국내
생명
과학 분야 성장과 위상 제고에 기여했다. ‘11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신경전달물질이 조직 손상시 메신저 역할을 해 골수 중간엽 줄기세포를 가동시켜 손상 조직 치유를 촉진시키는 기전을 규명했다. ... ...
봄에 춘곤증 겪는 이유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잠이 오는 춘곤증에 걸리는 이유를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임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
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기온이 높아지면 수면억제물질을 전달하는 시냅스가 사라져 잠을 더 잘자게 된다는 사실을 초파리를 이용한 연구결과에서 얻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수면을 억제하는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