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스페셜
"
몸
"(으)로 총 1,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국내 생명과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란 생각 때문이었다. 바이오뱅크는 수술시 환자
몸
에서 떼어낸 뼈나 혈액, 암덩어리 같은 신체 조직 일부를 영하 200도의 액체 질소 속에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인체조직’ 은행’이다. 국내에선 검체은행, 인체자원은행, 유전자은행 등으로 불린다.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만2000분의1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다”고 해양생명공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국장이
몸
담고 있는 해양정책국은 국토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해양생명공학 관련 전 사업을 관리하고 있는 부서. 박 국장은 여기서 생명공학 사업을 총괄 책임하고 있다. ●국토부 ‘블루바이오2016’… 세계 수준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단백질 수는 650개였지만 지난해 말까지 찾은 단백질은 모두 1만118개로 크게 늘었다. 우리
몸
에 있는 단백질(2만3000여 개) 가운데 절반을 밝힌 셈이다. 아직 뚜렷한 지도가 나온 건 아니지만 스웨덴 정부는 적극 투자하고 있다. 단백질 분야가 향후 의약·제약 시장에서 ‘블루오션’일 거라고 기대하기 ... ...
“제네릭 약가 보상 인하로 국내 업계 간 M&A 유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0.12.14
전송함으로써 의료진의 상시 모니터링과 투약, 처방 등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몸
에 센서를 달거나, 휴대전화에 진료 및 측정결과 전송을 담당하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향후 관건은 의료법 개정이다. U-헬스가 시범사업을 넘어 새로운 산업으로 정착하려면 원격진료와 ... ...
“제약경쟁력 키우려면 범부처 협력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0.11.23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후보물질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우리
몸
안에 있는 세포·단백질을 재료로 쓰는 바이오의약품은 독성이 없을뿐더러 아직 확인되지 않은 물질도 많아 ‘블루오션’에 가깝다. 임 단장은 “한국의 바이오의약품 개발 능력이 선진국의 60~70% ... ...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0.06
곳곳을 돌아다니며 신규 미생물을 발견하면 곧 논문을 낼 수 있다. 반대로 어떤 단백질이
몸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무슨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최소 몇 년이 걸린다. 연구 분야의 성격이 다르다보니 논문 발표수도 차이가 나는 건 당연지사. 이러한 고려 없이 ‘1년에 논문 몇 개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우리
몸
은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달합니다. 통증도 마찬가지에요. 통증을 잘 연구하면 부작용이 없는 진통제를 만들 수 있으리라 봅니다.” 이온채널은 세포 안팎으로 이온을 통과시키는 막단백질을 말한다. 세포막이 열리면 세포 바깥에 있던 양이온이 이온채널을 통해 세포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여성들이 정말 똑똑한데 의지가 약한 면이 있다”며 아쉬워했다. 그래도 눈치 보지 말고
몸
도 잘 챙기면서 공부하라고 격려했다. “민감하다고 할까 여성이 그런 면이 있어요. 그런 점을 잘 극복하고 앞으로 꾸준히 공부와 연구에 정진해줬으면 합니다.” 김은경 교수의 ‘이것만은 꼭!’ ○ 중견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들여 마시는 현재 방식은 문제가 많기 때문이다. “들여 마신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몸
곳곳에 퍼져요. 이 호르몬은 세포를 활성화하는데, 정상세포에 전해질 경우 세포가 온전히 성숙하기 전에 다시 분열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잘 못 되면 암이 발생할 수도 있는 거예요.” 이 교수는 유도탄처럼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연구비 아끼지 말아야” 한 교수가 연구하고 있는 분야는 역분화줄기세포다. 환자의
몸
에서 세포를 떼어낸 후, 이것을 줄기세포로 바꾸는 방법이다. 난자와 배아를 사용하지 않고 체세포를 추출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역분화세포는 윤리적 문제를 해소하며 난치병 원인 규명과 신약개발 등 다양한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