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잘못"(으)로 총 1,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2017.02.26
- 거기에 높은 자리에 가게 될수록 공감능력이 떨어지고 조직의 불의를 무마하게 되는 등 잘못된 길에 빠지게 될 가능성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리더의 인성 및 도덕성 같은 ‘내적 자질’이 더더욱 중요한 이유다. ※ 참고문헌 Galinsky, A. D., Magee, J. C., Inesi, M. E., & Gruenfeld, D. H. (2006). Power and ... ...
- 포커 최고수 상대 20억원 따… “다음 목표는 스타크래프트”동아사이언스 l2017.02.25
- 목표는 스타크래프트 같은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인간을 이기는 거야. 상대에게 잘못된 정보를 일부러 흘려 혼란을 주는 등 심리전도 벌어지고 1초에 몇십 번이나 명령을 내려야 해 만만치 않은 게임이야. 하지만 걱정은 하지 않아. 나에게 최고의 바둑 실력을 선물해 줬던 구글 딥마인드가 다시 ... ...
- [H의 맥주생활 (23)] 맥주 소믈리에가 되려면?2017.02.24
- 위해서는 이취(Off-flavor)도 잘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부러 맥주가 상하거나 잘못 만들어졌을 때 나는 나쁜 냄새들을 모은 키트가 사용된다. 여기엔 채소를 삶은 냄새, 잔디를 잘랐을 때 나는 냄새, 소독약 냄새, 곰팡이 냄새 등 기상천외하게 표현되는 냄새들이 모여있다. GABF 제공 ... ...
- “탈핵, 현실적인가?” 과실연, 원자력정책 토론회 열어동아사이언스 l2017.02.22
- 분석해보면 원자력안전공학을 모르는 비전문가 의견이 많고, 원전위험성 및 사고에 대해 잘못된 이해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탈핵을 한 뒤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고 하는데, 경제성을 생각했을 때 현실적인가”라며 “원자력 및 에너지 정책이 기술·경제·환경·안보 이슈인데 ... ...
- [카드뉴스] 키 크는 비법에 대한 오해 3가지동아사이언스 l2017.02.21
- 누구나 알고 있는 키 크는 비법 중엔 오히려 키가 자라는 것을 방해하는 잘못된 정보도 있습니다. 오해하기 쉬운 키 크는 비법의 진실을 파헤쳐 봅니다. 오해1. 오래 자기만 하면 되지 않나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인 성장호르몬은 뼈, 연골을 자라게 하고 ... ...
- [개소리칼럼] 아이가 개 약을 먹는 사고가 생각보다 자주 일어납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02.19
- 것이 좋습니다. ③ 사람 약과 개 약은 따로 분리해 두십시오. 사람 약을 집으려다 잘못 집는 경우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④ 약은 항상 본래 포장돼 있던 상자에 보관하십시오(상자를 버리고 내용물만 빼두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⑤ 약을 먹일 때 약을 단독으로 먹이기보다는 개에게 ... ...
- [팸퍼스 논란]엄마 마음 흔드는 육아용품 기사에 과장은 없나?동아사이언스 l2017.02.13
- 있다”며 “이렇듯 독성물질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안전하다고 믿는 화학물질도 잘못 쓰면 독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시 말해 합리적인 수준으로 정해놓은 기준치를 넘지 않는 제품에게는 자비와 관용을 베풀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극미량으로 검출된 화학물질은 ...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 “트럼프 대통령, 속히 과학기술자문위원 선임해야”동아사이언스 l2017.02.12
-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는 것이다. 부시 전 대통령은 이를 미루다 과학기술 분야에서 잘못된 정책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사이언스는 줄기세포 연구를 제한토록 한 것을 예로 들었다. 당시 부시 전 대통령은 실제보다 과장된 줄기세포 연구실 수를 근거로 이런 결정을 내렸다. 실제로 트럼프 정부 ... ...
- [개소리 칼럼] 중성화 수술, 꼭 해야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2.12
- 수술은 아닙니다. 동물의 본능을 억지로 제거하는 건데 완벽할 수 없지요. 수술 자체가 잘못돼 생기는 부작용이 아니더라도, 부작용은 분명 있습니다. 일단, 수술을 하고 나면 돌이킬 수 없습니다. 사람의 경우 정관을 묶거나 난관을 묶는 수술이어서 원한다면 묶은 것을 풀어 원래대로 되돌릴 수 ... ...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2017.02.12
- 감정으로 분류된다. 이런 죄책감은 가급적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려고 하고 잘못을 한 후에는 ‘반성’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는 등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한다. 하지만 문제는 죄책감이 ‘지나칠’ 때이다. 지나친 죄책감이 불러오는 부작용들이 있다. 어려운 과제를 하거나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