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뉴스
"
자기
"(으)로 총 3,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왕이 될 상은 따로 있을까
2020.11.08
했단다. 얼굴은 스스로 어쩔 수 없지 않느냐고 하자, 마흔이 넘었으면 얼굴도
자기
책임이라는 것이다. 마흔이 넘은 나로서는, 당시 미국에서 태어났다고 해도 절대 링컨에게 표를 던지지 않겠다. 우리는 얼굴을 부모로부터 물려받는다. 하지만 성장과 발달의 단계를 거치면서 얼굴은 조금씩 변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속내를 금방 들키는 사람
2020.11.07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한국도 NASA 주도 민간 달 착륙선 사업에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측정기(LVRad)와 40억 년 전 달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달
자기
장을 측정하는 달
자기
장 측정기(LSMAG), 그리고 달에서 우주 날씨를 관측하는 장비(LUSEM)도 탑재체 후보로 개발하고 있다. 최 본부장은 “항우연이 개발한 달 궤도선이 2022년 발사되고, 천문연이 개발한 CLPS 탑재체가 2022~2023년 달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 “미·중 경쟁 결국 우주로 이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이 교수는 ”다른 나라가 현재 갖춰진 생태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는다면 중국은
자기
만의 생태계를 만들려고 한다“며 ”이런 이유로 미국은 중국을 매우 도전적인 국가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 안보 정책과 환경 보호를 위한 규범 필요 유준구 국립외교원 교수는 이날 ... ...
세계 최초 플라스틱 자석 만든 백종범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주고받으며 강자성을 나타냈다. 강자성은 물질 외부에서
자기
장을 가하지 않아도 스스로
자기
화돼 자석이 되는 성질이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켐’ 2018년 8월자에 실렸다. 백 교수가 유기물 플라스틱으로 만든 유기물 자석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규명하면서 금속으로만 자석을 만들 수 있다는 ... ...
중증 코로나19의 혈전 증가,
자기
항체가 깊숙이 관여한다
연합뉴스
l
2020.11.03
자기
항체가 얼마나 오래 잔존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물론 혈전 생성을 자극하는
자기
항체의 생성 및 작용 기제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도 향후 연구 목표에 들어 있다. /연합뉴스 ... ...
신라시대 놀이기구 주사위 닮은 약물 전달하는 ‘분자그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02
분자의 길이와 각도를 정밀하게 설계했다. 이후 분자들이 스스로 형태를 갖추는 ‘
자기
조립 특성’을 활용해 사각형 포피린 분자 12개와 굽은 막대기 모양의 리간드 분자 24개로 이뤄진 ‘분자 주령구(P12L24)’를 합성했다. 이렇게 만든 분자 주령구를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분자 ... ...
AI 기술 교류의 장…'삼성 AI포럼 2020' 온라인 개최
연합뉴스
l
2020.11.02
미국 뉴욕대학교 얀 르쿤(Yann LeCun) 교수는 '
자기
지도학습' 관련 최신 모델을 발표했다.
자기
지도학습은 데이터 내에서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정답을 찾아내 학습하는 방식이다. 이어 미국 스탠포드대 첼시 핀 교수는 '대칭 현상을 발견하기 위한 신속한 적응(Few-Shot Adaptation to Uncovering Symmetries)'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군가 곁에 있으면 덜 아픈 이유
2020.10.31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오늘의 뉴스픽]최초의 K모델 만든 과학자와 이젠 친해지고 싶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위해서는 기술개발이 중요하다는 소신을 펴왔고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는 “
자기
가 좋아하는 연구가 아니라 기업에 필요한 연구를 해야 한다”며 엄격한 기준에 따라 50여 명을 선발해 초기 KIST를 꾸렸습니다. 처음에는 ‘필요한 연구’를 위해 연구자를 데려왔지만, 일본 이화학연구소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