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뉴스
"
대로
"(으)로 총 1,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가 잠든 사이에 무슨 일이?
수학동아
l
2014.09.17
한다. 중간에 자칫 머뭇거리다가는 처음부터 다시 그려야 하기 때문에 미리 구상한
대로
한 번에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 애완견과 함께 산책하는 주인의 모습을 연출했다. - 리히트팍토르 제공 라이프 그래피티의 시초는 20세기 천재 화가로 불린 파블로 피카소였다. 피카소는 1949년 미국의 ... ...
한의학연 원장 재공모 “전통의학 연구 차질”
2014.09.15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재공모를 실시함에 따라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 기관장 공백이 한층 더 길어질 전망이다. 국 ... 밀어주기 등 각종 의혹에 대해 진상조사를 실시해야한다”며 “국회가 정상화 되는
대로
관련사실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필요 없는 ‘세포 공장’이 미래산업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생명체를 원하는
대로
설계해 필요한 물질을 만드는 ‘바이오디자인(합성생물학)’ 기술 덕분이다. 바이오디자인된 생명체를 이용하면 1g에 수천만 원 하는 물질을 환경오염 없이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런 효과를 반영하듯 ... ...
로켓 소녀에서 국가 안보 지킴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송 연구원의 회사 메신저의 대화명은 ‘풍산을 접수하는 날까지!’다. 회사에서 최
대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의미에서다. 송 연구원은 앞으로 박사과정 공부를 하면서 전문성을 더욱 키울 계획이라고 한다. 그녀의 바람처럼 방산분야에서 ‘송이화’하면 딱 떠오를 만한 ... ...
한국엔 에볼라 앰뷸런스가 없다
과학동아
l
2014.08.26
한국인이 에볼라에 감염되면 급히 외국에서 에어 앰뷸런스를 빌려와야 한다. 급한
대로
밀폐 텐트를 일반 비행기에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문제는 비상시 매뉴얼이 없다는 점이다. 송영조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사무관은 “현재 관계부처에서 논의 중”이라고만 답했다. 아예 데리고 오지 못할 ... ...
“교육과정 개정안은 이과 폐지안”
2014.08.25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를 비롯한 20개 과학기술단체는 25일 서울 중구 세종
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교육부의 일방적인 교육과정 개정으로 초중등 교육이 무너진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이번 교육과정 개정안은 교육학과 심리학을 포함하는 등 교육 이론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수학 개념보다 수학의 역사와 활용 먼저 배워야”
2014.08.20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수학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자신의 경험을 토
대로
설명을 이어갔다. 먼저 수학의 한 분야인 ‘차원(dimension)’과 ‘카오스’를 설명한 웹사이트를 소개하며, 2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이 곳을 통해 이해를 높였다며 유지 관리가 쉽고 쌍방향성을 활용할 수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수학 싫어하는 이유는…”
2014.08.19
농담을 던졌다. 그는 “학생뿐 아니라 대중이 수학에 관심을 갖게 하려면 제
대로
된 문답법’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스스로 호기심을 갖고 던지는 질문이 수학을 좋아하게 될 열쇠라는 뜻이다. 특히 오늘날 수학에서 질문이 중요하다고 강요하면서도 정작 학생들이 질문을 하도록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이창호 9단이 수학자대회에?
2014.08.19
이어 받은 김찬우 6단은 바둑의 기존 9단~18급에 이르는 등급 체계가 초보자들의 실력을 제
대로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꼬집었다. 소위 ‘돌 따먹기’만 할 줄 아는 18급과 이제 곧 승급을 앞둔 18급과 실력차이가 너무나 크다는 뜻이다. 실제로 한 바둑사이트에서 처음 바둑을 접한 사람이 첫 ... ...
옷 위에도, 종이 위에도, 나노 구조물이 딱!
2014.08.19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로 맨눈으로는 안 보일 정도로 작다. 하지만 빛을 원하는
대로
산란시킬 수 있고 표면적이 넓은 데다 반응성이 뛰어나 바이오센서 태양전지 등에 두루 쓰인다. 다만 현재까지는 실리콘을 제외하고는 종이나 유리, 금속 등의 소재에는 나노 구조물을 붙일 수가 없어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