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뉴스
"
게
"(으)로 총 9,163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네번째 사출 큐브위성 통신두절…"40일 만에 교신한 사례 있어 계속 시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상업용 위성보다 성공률은 낮다. 실패하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추정하는
게
쉽지 않다. 변수가 많아 통상 일주일 정도는 신호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많다. 지난 2018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우주망원경 기술을 검증하는 3kg 큐브위성 ‘카니발엑스’를 쏘아 올렸을 때도 통신 ... ...
필즈상 품고 입국 허준이 교수 “수학은 가끔 적당히 포기할 줄도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했지만 저한테는 그
게
가장 좋고 빠르고 최적화된 길이었던 것 같고 마음을 여유롭
게
갖고 천천히 차근차근 한발짝, 한발짝 걸어나가면 좋은 결과 있을 거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 ...
티렉스보다 2000만년 전 출현 ‘도플갱어’ 공룡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기가스나 티렉스는 두개골의 크기가 커지는 과정에서 볼품없는 앞다리를 지니
게
됐다는
게
연구진의 추론이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메튜 카라노 미국 스미소니언국립자연사박물관 공룡 큐레이터는 “티렉스와 같은 신체 구조를 가진 공룡이 나왔다는 사실은 신체 구조를 만든 공통의 원인이 ... ...
호암상 수상자 키스 정 교수 “미래 질병 치료 길 여는 유전자 가위 기술 발전의 실질적 공헌자들은 한국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어떤 유전자 가위보다 교정 정확도가 높다”며 “또 어떤 교정이 이뤄졌는지 알 수 있는
게
타 유전자 가위 기술과 비교해 장점"이라고 말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정 교수는 이런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의 발전이 세계 여러 연구자가 노력한 결과라 설명했다. 그는 특히 한국인 연구자들이 ... ...
필즈상 수상자 허준이 교수 "한국에서 따뜻하고 만족스러운 유년시절 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6
느끼고 아직까지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필즈상이란 큰 상을 받
게
돼 기쁘다”며 “부담감은 있지만 억눌리지 않고 앞으로도 찬찬히 꾸준히 공부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가 5일(현지시간) ... ...
'탈원전 폐기' 공식화…원전비중 확대에 업계 기대감-환경단체 반대
연합뉴스
l
2022.07.06
공급과 탄소중립 수단으로서 원전 역할에 대한 고려가 미흡했고, 환경 측면에 지나치
게
경도됐다"고 지적했다. 또 "탈원전, 탄소중립 등 핵심 정책 추진에 있어 '선(先) 목표설정 후(後) 정당성 확보'에 따른 수용성 부족과 합리성·투명성 논란이 지속했다"고 덧붙였다. ◇원전업계, 일감·수출 ... ...
[2022 필즈상] 뒤메닐 코팽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
수학동아
l
2022.07.05
또 다른 문제들이 나타나고, 또 해결하고 싶기 때문이죠. 심지어 아직도 이해하고 싶은
게
세상에 너무 많습니다. 이것이 나를 어디로 이끌지 누가 알겠습니까?” 위고 뒤미닐 코팽(Hugo Duminil-Copin) △1985년 프랑스 샤뜨네-말라브히(Châtenay-Malabry) 출생 △2007년 파리 11대학교(파리-쉬드 대학교)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인터뷰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생각해야"
수학동아
l
2022.07.05
뇌세포가 하는 역할이 다르다. 그래서 ‘두뇌의 어느 부분이 더 똑똑하냐’고 묻는
게
무의미한 것처럼 말이다. 우리가 수학을 잘하고 있는지는 개개인이 아니라 전체로서 평가해야 한다. Q. 하루 일과가 궁금하다. A. 거의 똑같다. 오후 9시쯤 자녀들과 함께 잠을 잔다. 그러고서 새벽 3시쯤 ... ...
[엄상일 교수가 설명하는 허준이 교수 업적] 난제인 조합수학을 대수기하학이란 도구로 해결한 아이디어맨
2022.07.05
유도할 수 있
게
됐다. 허 교수는 그 후에도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
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다. 필즈상 시상식에서 수상하고 있는 허준이 ... ...
IBS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출범…유사 연구단 간 협력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2.07.04
세포구조연구단을 묶은 것으로 연구그룹 간 시너지를 내고 안정적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게
목적이다. IBS는 지난 1일 생명과학 연구클리스터를 출범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출범시킨 입자 및 핵 물리 연구클러스터에 이은 2번째 연구클러스터 체제다. 연구클러스터는 연구 테마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