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00년 전에 예측한 중력파의 존재를 직접 확인했다는 의미가 가장 크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여전히 우리 우주를 묘사하는 공고한 이론임을 말해주는 새로운 증거다. 이뿐만이 아니다. 앞으로 중력파, 전자기파 등 우주에서 오는 여러 신호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다중신호 천문학’이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않았어요. 현재는 두 가지 정도의 가설만 있죠.첫 번째 가설은 ‘첨단파 이론’이에요. 일반적인 파도가 해변을 향해 오는 것과 달리, 첨단파(또는 대륙붕파)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파도예요. 폭풍과 같이 아주 큰 기상 변화가 생길 때 만들어지죠. 일정하게 높고 낮음이 반복되는 보통의 파도가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앞당긴 것이었다. 기존에는 정자와 난자가 수정을 한 뒤 크리스퍼를 주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연구팀은 수정하기 전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진 정자와 크리스퍼를 함께 정상 난자에 주입했다(위 그림). 크리스퍼를 넣는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정자와 난자가 수정한 뒤 세포 분열을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위험하다?미세 플라스틱의 크기가 점점 작아질수록 독성에 대한 위험은 더 커져요. 일반적으로 쓰레기의 크기가 크면 동물들의 식도를 막거나 몸에 얽히는 물리적인 영향을 미쳐요.반면 쓰레기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화학적인 영향을 미치게 돼요. 몸속으로 들어가기가 훨씬 쉽기 때문이에요. 또 ... ...
- [과학뉴스] 철새의 장거리 비행은 바다 냄새 덕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마비시킨 그룹’으로 각각 나눈 다음, 행동이나 움직이는 거리 등을 관찰했다. 그 결과 일반 그룹과 자석을 붙인 그룹은 단거리나 장거리 비행에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후각을 잃은 슴새들은 대양을 건너야 하는 장거리 비행에서 방향을 제대로 찾지 못했다. 특히 땅에서보다 바다 위를 날 때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정해진 순서대로 바르면 효과가 더 좋다.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스킨, 로션을 바른 뒤 BB크림을 바르는 등 점성이 낮은 제품부터 쓰는 게 좋다. Q 요즘 화장품 기능을 한 제품에 모두 담은 ‘올인원’ 제품이 인기다. 개별 제품을 따로 쓰는 것만큼 효과가 있나. A ... ...
- [Photo] 바보의 金, 황철석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노랗게 번쩍이는 광석을 발견했다. 이 광석은 금이 다량 묻힌 금광석으로 인정받았다. 일반 투자자는 물론 왕실도 지원에 나섰고, 그는 1577~1578년 유럽인 최초로 신대륙에서 광산을 운영했다. 그는 여기서 채굴된 광석을 우여 곡절 끝에 영국 본토의 제련소로 보냈지만, 금을 얻지는 못했다. 금이 ... ...
-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성우의 관계에 상관없이 다니엘을 중심으로 지훈과 성우가 같은 무리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소속감은 무리의 크기가 클수록 높아집니다. 무리가 작아도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으면 소속감이 높아지지요. 즉 소속감은 무리의 크기와 동질감에 비례합니다. 하지만 둘 중 어떤 값을 중요시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KN-08’을 개량한 것이다. KN-14는 아직 북한이 정식으로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다. 일반적인 ICBM의 재진입체 모양은 원추형이다.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여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데다, 재진입 시 표면이 골고루 깎이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삭마에 의해 비대칭적으로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부위에 특이한 SNP가 있는 경우, 8~15세 때 근시가 진행된 속도가 일반 사람들에 비해 빠르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재밌는 건 평소 책을 잘 읽지 않는 어린이는 SNP에 상관없이 근시 진행 속도가 느렸고, 책을 많이 읽는 어린이의 경우 SNP에 따라서 근시 진행 속도가 최대 5배까지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