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문
읍
도시
미문
가집
한시
타임
d라이브러리
"
시
"(으)로 총 4,7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호암재단, 6월에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회 열어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강연에서도 40년 동안 자신이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던 비법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서울
시
교육청·성균관대·호암재단이 공동주최하는 이번 강연회는 한국 청소년들에게 노벨상 수상자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청소년들에게 꿈과 비전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됐다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학교 주변에서 아주 작은 테러 사건이 벌어져 하루 동안 경찰들의 검문이 진행된다. 검문은 문제가 없다면 2분만에 끝나지만 P%의 확률로 D분간 지연될 수 있다. 학 ... 이번 프로젝트는 최종 경합까지 올라갈 수 있을 것 같나.규진 그건 잘…, 모두의 응원이 필요한
시
점이다(좌중 웃음) ... ...
[Knowledge]
시
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35점까지 늘어나게 돼 사후경과
시
간을 추정하는 데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 메기에
시
박사가 만든 점수체계와 방정식을 개선·보완한 논문이 2005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살해당하는 아이들은 한 달 평균 2.6명(2006년 1월~2013년 3월까지)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
시
려면?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거리예요. 1광년은 약 9조 4600억km랍니다. 지구에서 안드로메다은하까지는 230만 광년,
시
리우스까지는 8.6광년 떨어져 있어요.천문단위(AU)는 태양과 지구의 평균거리로, 1AU는 1억 4960만km예요. 이 기준은 1964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국제천문학연맹에서 제정되었지요. 한편 파섹(pc)은 별까지의 ... ...
[과학뉴스] 옥
시
토신 스프레이로 식욕 억제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시
도 때도 없이 솟구치는 식욕을 조절하는 데 옥
시
토신 스프레이가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종합병원 프라지스카 플래소 교수팀은 옥
시
토신 ... 보스턴에서 열린 제98회 미국내분비학회에서 발표됐다. 옥
시
토신 스프레이는 현재 유럽에서만
시
판 허가를 받았다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선택이 질소발자국을 줄이는 쪽에 맞춰지면 소비국과 생산국의 산업 및 무역 구조 역
시
자연스럽게 그에 맞게 변할 수 있다. 말릭 연구원은 “개개인이 음식물 소비와 음식 쓰레기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체 질소화합물 배출량의 14.8%는 생활쓰레기에서 나온다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있지만 대책을 준비하고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
시
려면?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혼밥혼술 문화는 한국이나 일본같이 유교주의와 집단주의 문화가 강한 사회에서 더 문제
시
되고 있다. 개인 간 유대가 끊어진 증거라는 주장 때문이다. 그러나 식사를 누구와 함께할 건지, 심지어 혼자 할 건지 결정하는 건 어디까지나 개인의 자유다. 이런 문화 자체를 금지하거나 강제할 수는 없다. ... ...
[과학뉴스] 세상의 마지막 촛불이 꺼지는 순간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시
간 9분 가량 태양의 3.5%가 가려지는 부분일식밖에 볼 수 없었다.개기일식 동안에는 평상
시
볼 수 없던 태양의 상층 대기인 채층과 수백만°C에 이르는 코로나와 홍염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지구에서 개기일식이 일어난 것은 지난해 3월 유럽에서 관측된 이후 1년 만이다. 서울에서 관찰할 수 있던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