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소리마당. ‘anonymous’라는 아이디를 쓰는 사용자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논문의 줄기세포 사진이 조작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다음날 새벽, 자신을 박사과정이라 밝힌 아이디 ‘아릉~’ 사용자가 황 교수의 논문에서 DNA 지문 사진이 조작됐다는 의혹을 올렸다. 의혹은 삽시간에 전국으로 퍼졌고,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긴밀하게 협업해야 하겠어요.황석연: 그렇습니다. 현재 삼성병원 정형외과와 함께 줄기세포 연골판 생체재료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피부과 전공의 한 분이 저희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를 하기도 하고요.김현수: 교수님도 박사과정은 의대에서 마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공학과 어떤 차이가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일으키지 않는 하나의 세포예요. 다시 말해서, 무정란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큰 세포랍니다!그럼 동물은 언제부터 알을 낳았을까요? 2004년 미국 버지니아공대의 슈헤이 샤오 교수는 남중국에서 발견된 약 6억 년 전 배아 화석에서 부화 직전의 흔적을 발견했어요. 이건 적어도 고생대 이전에 ... ...
- [과학뉴스] 후천적 비만의 원인, 단초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체내 신호전달물질로 알려진 ‘S6K1’이 유전자 발현 과정을 변화시켜 비만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6K1의 후성유전학적인 역할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한정 ... 억제되면 지방세포 수가 늘어나 비만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는 생물학 학술지 ‘분자세포’ 4월 14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암흑물질, 사람 세포만큼 무겁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1013GeV/c2에서 1015GeV/c2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최소 윔프보다 1000억 배 무겁고, 최대 인간 세포 하나의 질량(1나노그램)과 맞먹는다. 연구팀은 질량이 큰 대신 입자의 상호작용이 훨씬 약할 것으로 내다봤다.산도라 연구원은 미국의 과학매체 ‘스페이스(Space)’와의 인터뷰에서 “질량은 크지만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교수팀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유전자회로 60개를 설계했고, 이중 45개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정확하게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이 45개의 회로만 잘 이용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환경에서만 특정 대사를 하는 생물을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산소 농도, 당 농도, 온도, pH와 같은 환경요소를 입력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소화효소가 세포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던 세포막을 허물고 세포질 안의 물질을 세포 밖으로 흘러나오게 한다. 자기소화(autolysis)라고 불리는 이 과정은 시신의 이곳저곳에 물집이 잡힌다든지 표피와 진피가 분리되는 현상을 통해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본격적인 부패는 몸 안팎의 박테리아에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잎, 그 줄기는 살아있는 거잖아. 네 팔을 잘라도 잠시 동안은 팔 안의 근육과 신경, 혈액 세포들이 살아있는 것처럼. 생명의 핵심은 움직임이고 에너지야. 살아있는 것을 파괴해서, 생명을 죽음으로, 연속된 움직임을 영원한 정지로 바꾸어서 내 생명, 내 움직임만 연장하는 건 모두 죄일 뿐이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들이마신 기체에 비해 산소가 줄어들고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는 많아진 상태예요. 몸속 세포가 에너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산소는 받아들이고, 에너지를 만들면서 생긴 이산화탄소는 배출하기 때문이지요.풍선을 부풀리기 위해서는 날숨을 대신할 기체가 필요해요. 지구상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 ...
- [과학뉴스] ‘좀비’ 된 청개구리, 더 매력적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더 매력적인 구애행동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항아리곰팡이는 양서류의 피부 안쪽 세포를 보호하는 케라틴 조직을 먹어치워, 피부호흡을 하는 양서류를 질식사하게 만드는 무서운 존재다. 이미 수백 종의 양서류가 항아리곰팡이에 의해 멸종됐다.브루스 월드만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