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실습을 한다. 정보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김선아 교사는 “이론보다는 실습이 학생의
반응
이 좋다”며, “이론 수업도 보드게임 같은 언플러그드 활동 위주로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SW와 과학의 융합안산해양중학교 SW교육의 또 다른 특징은 ‘융합’이다. 정보가 아닌 다른 수업에서도 ... ...
[과학뉴스] 개도 ‘립서비스’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칭찬했을 때는 뇌의 보상중추가 강하게 활성화된 반면, 감정 없는 말투로 했을 때는
반응
이 적었다. 앤딕스 연구원은 “개도 사람처럼 의미와 억양을 통합해서 말뜻의 진짜 의미가 무엇인지 해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공개하며 함께 문제를 풀자고 제안했다. 프로젝트가 시작되고 7시간 동안은 아무런
반응
이 없었다. 그러다 영국 수학자 조세프 소모로시가 짧은 의견을 달면서 연구의 박차가 가해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제이슨 다이어라는 고등학교 교사가 한 가지 제안을 올렸고, 이어 테렌스 타오가 의견을 ... ...
[과학뉴스] 핵탄두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배나 큰 폭탄입니다. 핵물질 안에 소량의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넣어 폭발 시 수소 핵융합
반응
이 일어나 폭발력이 증폭되기 때문입니다.현재 국제사회에서는 북한이 정말로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만약 실패했다 해도 핵탄두 소형화는 사실상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는 바이러스나 암세포의 유전자를 찾아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기술이중합효소연쇄
반응
(PCR)이다. 유전자의 특정 서열을 수십억개씩 복제해서 그 유전자가 바이러스나 암 유전자가 맞는지 확인한다. 이 기술을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사진 중엔 의학교과서에서 꼽은 남녀의 누드 사진이 포함돼 있었는데, NASA는 대중의
반응
을 걱정해 거부했다(103쪽). 골목에서 아이들의 재잘거림을 녹음한 남자는 앤 드루얀을 내쫓으며 “NASA가 나 같은 우람한 사운드맨에게 쪼끄만 여자를 보내다니 간도 크군!”이라고 소리를 질렀다(207쪽) ... ...
[과학뉴스] 임상종양학회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연구, 생존자 건강관리 등도 싣는다. 올해 9월 1일자에는 혈액 검사로 약에 대한 내성
반응
을 체크하고, 가능한 한 빨리 새 약물로 교체해 유방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늦출 수 있는 연구 결과가 실려 화제가 됐다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니샤의 심장이 점점 빠르게 뛰기 시작했다. 네트워크에 글이 몰린다는 건 그만한
반응
을 일으킬 수 있는 사건이 일어났거나 그에 상응하는 뉴스가 퍼졌다는 뜻이었다. 윤환이 지금 이런 얘기를 하는 것과 때를 맞춰 글이 폭주한다는 게 과연 우연일까? 니샤는 그럴 리가 없다고 생각했다.윤환이 ... ...
[과학뉴스] 아침에 몸이 찌뿌드드한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생성하는 유전자를 없앴다. 그 결과 크립토크롬 생성 주기가 무너지면서 세포에 염증
반응
이 증가했다. 윤활막세포의 염증은 염증성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깁스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단백질의 생체주기를 고려한, 더 효과적인 염증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중 일부가 먹잇감을 포착하면 주변 근육이 먹잇감을 향해 움직인다. 무의식적인
반응
만으로 일생을 살아간다는 얘기다. 이런 상자해파리가 먹이를 맛있다고 느끼기란 불가능하다. 곤충은 다르다. 곤충의 뇌는 다양한 의식을 처리하는 것처럼 보인다. 행동연구가 가장 많이 이뤄진 개미나 꿀벌을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