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d라이브러리
"
마디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삼천리 방방곡곡을 섭렵하면서 가장 절실히 깨닫는 것은 자연에 대한 이해. 한
마디
로 자연을 모르기 때문에 자연을 보호 하지 않고 파괴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자생식물은 3천2백여종이 있는데 이들 중에 우리의 특산종은 4백6종. 어떤 종은 사람들에게 밟히고 뽑혀도 잘 견디고 번식이 잘 되는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쉽게 ''컴퓨터!"라고 대답한다면 나는 "딩동댕" 소리가 나는 실로폰을 칠 수가 없다. 한
마디
로 "땡!"이다.그럼 무엇일까. 당신 조수는 컴퓨터의 두뇌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즉 중앙처리장치다. 이 친구가 서류들을 올려놓고 작업을 하는 책상은 메모리 즉 주기억장치(main memory)다. 그리고 이 친구가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많다. 쌍성의 두 별은 동시에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수명은 같을 수가 없다. 별들은 한
마디
로 '짧고 굵게'산다. 즉 질량이 큰 별일수록 수명이 짧게 된다. 따라서 쌍성에서는 한 별이 아직 한참 젊을 때 질량이 더 큰 다른 별은 백색왜성이나 중성자별 또는 검은구멍 중의 하나가 되어 있을 수도 있다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다른 편에서는 막 만들어진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해버리는 일이 생길 수 있다). 한
마디
로 합성이냐 분해냐 하는 명제는 세포에게 있어서 가장 긴박한 질문인 셈이다.일단 결정을 내린 후에는 가급적 빨리 한쪽을 활성화시키고 다른 쪽의 기능을 정지시켜야 한다. 이때 단백질의 인산화는 각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tetradentata, 사진4)와 같은 참갯지렁이류들은 대개 펄이나 모래구멍 속에 살다가 일정한
마디
의 체강내에 정자나 알(사진5)이 만들어지면 다리가 헤엄칠 수 있게 넓게 변형된다. 참갯지렁이류는 월령에 따른 생식주기가 되면 표면으로 올라와 다함께 생식군영(群泳)을 한다. 이때 수컷과 암컷이 함께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나무가 생장할 수 있는 기간이 너무 짧고 또 추워서 나무를 찾아 볼 수 없다. 한
마디
로 북극지방은 북위 90°, 지리적 북극점을 중심으로 하는 거대한 바다와 주변의 황량한 유라시아 및 북아메리카 대륙의 북쪽 지방과 대서양의 북쪽지방이다.북극은 위도가 높고, 지면이 황량하고, 바다의 영향으로 ... ...
1 '85년 위성발사 상업화 선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우주에 발사해 줄 수 있는 첨단기술이 공존한다. 중국의 평균 과학기술수준을 한
마디
로 말할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중국사람만큼 이해하기 힘든 것이 첨예한 양극구조의 중국 과학기술이다.종이 나침반 화약 인쇄술 등 4대 과학기술 발명국임을 자랑했던 중국은, 그들이 가진 풍부한 자원과 ... ...
노란띠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어른벌게가 된 다음에 먹이를 먹는 것은 후식(後食)이라고 한다. 머리 앞가슴 촉각의 자루
마디
는 짙은 남색이며, 광택이 나는 딱지날개면에는 두줄의 폭이 넓은 노란띠 모양의 반문(斑紋)이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한반도 전역에 넓게 분포한다. 몸의 길이는 17~21mm정도 ... ...
칼 J 신더만 「과학자의 기쁨과 영광」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루어진 과학분야 연구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우는 매우 적은 편이다. 이는 한
마디
로 짧은 과학전통에 기인된 구조적인 비효율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현재 모든 분야의 과학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으며 이를 단기간내에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언젠가는 좋은 시절이 오리라는 ... ...
쓰레기 속에서 진주 찾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패망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면 오늘의 일본이 있게 한 원동력은 무엇인가? 한
마디
로 요약한다면 발명의 힘이다. 그중에서도 폐기물을 이용한 발명은 전쟁후 일본이 오늘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한 예를 들어보자. 일본도 우리나라처럼 지하자원이 부족하다. 그래서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