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수학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몰라 1학년 내내 엄청 헤맸어요. 옥스퍼드대는 입학한 뒤에 전공을 바꾸는 것이 불가능해서 억지로 버텼던 것 같아요. 하지만 3학년 정도가 되니 이런 문제가 익숙해지고 수학이 더 재밌어지더라고요! Q3. 수학과 학생으로서 느끼는 즐거움이 있나요? 정은 ... ...
- [과힉뉴스] 결함으로 오히려 강해지는 양자 재료의 초전도성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스트론튬 티탄산염(SrTiO3) 단결정에 소량의 불순물로 니오븀(Nb)을 첨가한 뒤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소재의 초전도성 발생 조건을 개선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10월 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3-021-01102-3 연구팀은 불순물이 들어간 스트론튬 티탄산염 결정이 압력으로 ... ...
- 역사가 된 실패, 과학자의 망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인류의 역사에 이름을 새긴 위대한 과학자들은 수없이 많다. 사실 그들의 업적 뒤에는 우리가 알지 못했던 실패담인 ‘흑역사’ 또한 가득하다. 중국 물리학자가 전 세계 과학자 26인의 실패담을 모은 책 ‘과학자의 흑역사’에 따르면, 과학자의 흑역사는 몇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한때 망한 실험 ... ...
- 3750m 질주의 과학 활주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공사 현장을 방문했다. 지니고 있는 전자 제품을 일일이 등록하고 수차례 보안 검색을 한 뒤에야 현장에 닿을 수 있었다. 광활한 활주로 중간 즈음에서 수많은 작업자들이 기존 포장을 떼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 팀장은 “활주로는 2년마다 사진을 찍고 구멍을 뚫어 상태를 철저히 점검해 ... ...
- [SF소설] 바키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8/12-001세 개의 배양통을 우주선에 싣는 데 성공했습니다. 두 개는 배터리가 망가져 전원이 꺼졌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지구의 상태를 보면 세 개가 멀쩡하다 ... 좋겠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대장님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마지막 기록 마치겠습니다. 잠시 뒤 뵙겠습니다. ... ...
- [기획] 키메라가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132개의 원숭이 배아에 사람의 피부세포로 만든 줄기세포를 25개씩 넣었어요. 10일 뒤 103개의 원숭이 배아는 사람의 세포와 함께 발달했고, 15일째에는 인간 세포의 비율이 최대 7%까지 유지되고 있는 배아를 확인했죠. 이후 키메라 배아의 숫자가 급격히 줄었지만 19일까지도 3개의 혼합 배아가 살아 ... ...
- 컴퓨터 없이 코딩한다! 쪼물락 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만약 블록에 이동하기 블록을 적용해, 쪼코가 장애물을 만나면 오른쪽이나 왼쪽, 혹은 뒤로 되돌아 가도록 명령하는 거예요. 이를 이용하면 미로 속에서도 쪼코가 자동으로 길을 찾도록 만들 수도 있지요. 더 놀라운 것은 이 기능이 ‘로봇 청소기’와 비슷하다는 점이에요. 로봇 청소기는 쪼코보다 ... ...
- 스티브코딩쌤-마인크래프트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경우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에서 찾을 수 있어요. 베드락 에디션을 실행한 뒤, 플레이 > 새로 만들기 > 새 월드 만들기 버튼을 눌렀어요. 두 번째 선택! 크리에이티브 모드 ➊ 기본 게임 모드는 크리에이티브 모드로 설정했어요. 서바이벌과 크리에이티브 중 후자를 선택한 것은 크리에이티브 ... ...
- [이슈] 수학으로 찰칵찰칵! 엘사와 우디 얼굴로 바뀌는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애니메이션 필터 기술에는 비슷한 원리가 적용돼 요. 바로 사진에서 눈, 코, 입을 찾은 뒤, 그중 한두 개의 특징을 골라 나와 닮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특징으로 바꾸는 거예요. 이때 ‘숫자’가 활용돼요. 컴퓨터는 사진을 숫자로 인식해요. 사진은 ‘픽셀’이라고 불리는 작은 정사각형으로 ... ...
- [특집] 연속체 가설은 거짓? 끊임없는 수학자들의 공격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연속체 가설이 거짓임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생각만큼 되지 않았고, 그 뒤로 몇 년 동안은 잊고 지냈죠. 그러다 2017년 즈음에 어떤 정리를 증명하려고 정리해 뒀던 아이디어들을 보다가 연속체 가설을 연구했던 때의 기록을 발견했어요. 그리고 그때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었는지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