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따르면 ‘지구 위협 소행성’(PHA)이 4백95개로 확인됐다. 지구 위협 소행성은 지구
궤도
를 통과하고 지구에 가장 가까울 때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20배 이내로 들어오며 크기가 1백50m 이상인 소행성이다. 이들 가운데 전지구적인 피해를 가져올 1km 이상의 크기를 가진 소행성만 1백21개나 된다. ... ...
컬럼비아호 참사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일으켰다. 곳곳에 흠이 나고 외장이 녹슨 것은 기본이고, 이륙 후 많은 연료가 새나와
궤도
에서 균형을 잃은 적도 있으며 엔진을 통제하는 컴퓨터에 이상이 생겨 비상 백업시스템이 작동한 적도 있다. 컬럼비아호는 처음 제작된 이후 탄소 브레이크, 조종장치, 내열시스템 등을 비롯해 무려 50차례나 ... ...
미아위성 구출한 우주유영장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임무에는 통신위성 2대의 발사도 포함됐다. 그런데 이 위성들은 추진장치의 결함 탓에
궤도
에 진입하지 못하고 MMU를 통해 회수해야 하는 우주미아가 되고 말았다.성공적인 시승에 만족한 NASA는 1984년 4월 4일에 발사된 다음 우주왕복선 임무에서 MMU를 실전에 투입했다. 임무는 우주미아가 된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우주선이다 그러나 옛소련의 로켓개발 실패로 달착륙계획이 취소되자 소유즈는 지구
궤도
용과 살류트 우주정거장의 수송선으로 개조됐다동물은 알을 낳거나 새끼를 낳음으로써 번식한다 알을 낳는 경우를 난생, 새끼를 낳는 경우를 태생이라고 한다 그런데 알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어미의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쉽게 확인할 수 있다.이달의 밤하늘에 어떤 일이? - 2월 2일 목성 가장 잘 보인다지구
궤도
바깥에 위치하는 외행성들은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의 정반대편에 위치하는 경우 가장 관측하기 좋다. 이 시기는 ‘충’이라 불린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은 약 13개월에 한번씩 충을 맞이한다.근래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지구의
궤도
가 원이라는 가정을 스승인 티코 브라헤가 남긴 관측데이타를 이용해 타원
궤도
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그의 법칙은 후에 뉴턴이 만력인력을 발견하는데 수학적인 기초를 제공했다송어·연어 등은 대양을 회유하면서 성장하여 성어가 되면 산란하기 위하여 태어난 하천(母川)으로 ... ...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앞에 멋지게 나타나려고. 하지만 파에톤의 초보운전은 큰 재앙을 불러왔다. 태양 마차가
궤도
를 이탈해 온세상이 불타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 광경을 본 제우스가 마차를 향해 번개를 던졌고, 결국 파에톤은 별똥별처럼 긴 불꽃을 내며 에리다누스 강에 떨어져 죽었다.사실 전파은하 ‘0313-192’에서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헌터 박사는 우주대포를 알래스카의 산 속에 설치하고 약 3천3백kg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
궤도
에 매우 저가의 비용으로 진입시킬 사업모델을 갖고 투자자를 모집하려 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는 별다른 진전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쥘 베른의 소설로부터 시작된 가장 오래된 우주발사체, 우주대포는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흩어진 부스러기에서 탄생한 달이 나머지 부스러기가 이루는 원반과의 상호작용으로 달
궤도
의 기울기가 커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처음 제기된 이래 25년이나 지난 지금까지 달 기원을 설명하는 선두주자로 남아있는 대충돌설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현재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많은 사실이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미래에 광물자원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또한 2002 AA29와 같은 준위성
궤도
에 인공위성을 갖다 놓는다면 아직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는 소행성의 화학조성과 기원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밤하늘의 여왕 달 탄생 최신 스토리1 달 탄생 유력한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