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고위관리, 그리고 상류층 양반가문에서나 인쇄된 달력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일반 백성은 공식적으로 인쇄된 달력을 지체 높은 양반가에서 빌려 간단하게 몇몇 중요한 날짜만 베껴서 만든 임시 달력을 쓸 수밖에 없었다.그러기에 달력은 청나라 황제가 조선왕에게 내려주는 것이나, 왕이 신하에게 ...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3호
- 커졌고 각국은‘생물다양성협약’에 서명하기 시작했지. 우리나라는 1994년 10월 3일에 공식 가입했단다. 이외에도 멸종위기에 놓인 야생 동물과 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이주성 야생동물의 종 보전에 관한 협약, 습지를 보호하자는 내용의 람사협약, 야생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 ...
- 2 놀라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9호
- 공식에 대입해 보면 8-12+6=2가 된답니다. 주변의 물건들에서 다면체를 찾아보고 오일러의 공식에 대입해 보세요.사면체 4-6+4육면체 8-12+6팔면체 6-12+8 = 2십이면체 20-30+12이십면체 12-30+20 =2재미있는 제곱숫자의 오른쪽 위에 작은 숫자가 또 붙어 있는 수를 본 적이 있나요? 이것이 바로 ... ...
- 비밀의섬 '안보여도'의 육상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3호
- ➌ 마사이족의‘아주마니 나라바’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장대높이뛰기 선수로 비공식 세계 신기록 보유자다. ➊ 미국의‘니차도 띠어’역시 만만치 않은 상대. 여기에 도전장을 낸 또 다른 선수는 ➋ 프랑스의‘저노피 띠옹’이다. 이번 경기만큼은 역시 어떤 장대를 써도 되지만 반칙은 허용되지 ... ...
- 교향악단 조율의 비밀과학동아 l2006년 12호
- 먼저 용수철 상수가 $k$인 용수철에 질량 $m$인 물체를 달아 진동시킨다. 이때 진동수 공식은 $f=\frac{1}{2π}$다. 여기서도 볼 수 있듯이 진동수는 탄성을 나타내는 용수철 상수 $k$를 관성을 나타내는 질량 $m$으로 나눈 뒤 제곱근을 취한 양에 비례한다.소리도 마찬가지다. 소리는 공기의 압력변화가 ...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과학동아 l2006년 12호
- 그램(g)이나 킬로그램(kg)을 써야 한다. 산자부는 내년 7월부터 계약서나 광고, 상품에 공식 법정단위 대신 평이나 근을 사용하는 업소나 기업에 50만원의 과태료를 물리기로 했다. 일상생활에서 잘 사용하고 있는 단위를 왜 못 쓰게 만들어 혼란스럽게 하는 걸까. 변치 않는 1m를 찾아요즘에는 ... ...
- 태권V 지치지 않고 싸우려면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있다.물리적으로 핵융합이나 핵분열 반응을 통해서 얻는 에너지는 $E=M{C}^{2}$라는 유명한 공식으로 표현하는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등가의 법칙’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핵융합 반응이든 핵분열 반응이든 반응 전후의 입자 총질량이 약간 감소하는데, 이렇게 감소한 질량이 바로 에너지로 ... ...
- 반전 극장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알려졌다. 그런데 올해 수학자 마르크 르노가 쓴 논문에 따르면 앙드레가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푼 첫 번째 인물이긴 하지만 그의 풀이가 반전법과 똑같지는 않다고 한다. 그러니까 ‘앙드레의 반전법’이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후대에 ‘이 문제는 앙드레가 처음으로 풀었다’와 ‘이 문제는 ... ...
- USB 충전지과학동아 l2006년 11호
- 입체구조를 표시하기 위해 보통 추측단면도를 만든다 측수학(測樹學)용어 측수용 구적 공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들이 구비해야 할 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계산이 간단하고 나무의 길이와 지름 등의 측정 인자를 구하기 쉬우며, 완정체(나무의 초단부를 가지고 있는 수저)와 결정체(초단부를 ...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과학동아 l2006년 11호
- 헤벨리우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핼리의 증명서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핼리가 영국의 공식적인 대표로 자신을 방문해 자기가 관측한 상당수의 별을 함께 검증한 뒤 증명서를 써줬다고 과장했다. 사실 핼리는 사적으로 헤벨리우스를 방문해 별 10여개를 함께 관측했을 뿐이었다. 때문에 핼리는 매우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