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몽골에서 한반도까지, 독수리의
겨울
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잘 관리하지 못하면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거든요. 따라서 우리나라를 찾은 독수리가
겨울
을 잘 보내고 고향으로 무사히 돌아가려면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답니다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아낄 수 있다.땅 속의 열도 소중히~!솔라하우스1에 건설된 열펌프와 열 저장탱크.
겨울
에 공기가 추워도 땅 속은 쉽게 식지 않으므로 땅 속의 열을 이용해 물을 데워 냉방과 난방에 이용한다. 저장된 땅 속 열을 이용하므로 화석 연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솔라하우스2에도 같은 원리의 열펌프와 열 ... ...
통증 사냥꾼 진통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못하면 다리가 부러져도, 몸이 칼에 찔려도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한
겨울
난로 옆에서 몸을 녹이다가 실수로 난로를 건드릴 경우 보통 사람들은 채 의식도 하기 전에 손을 빼며 “앗 뜨거!”라고 외친다. 그런데 통증을 못 느끼는 사람은 본인의 손이 난로에 닿아있는 걸 보거나 ... ...
점박이물범, 갯벌, 야생조류로 되살아나는 황해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거쳐 다시 중국의 보하이만으로 이동한다. 보하이만은 황해생태지역 가운데 염도가 낮아
겨울
에 얼어붙는 유일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점박이물범은 빙원에서 번식하는 습성이 있어 이곳을 찾는다.2004년 점박이물범 보호활동을 시작한 녹색연합은 그동안 물범의 서식 환경과 생태 습성을 조사하는 ... ...
윷놀이로 떠나는 수학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동네 큰 마당에 모여 즐겼던 윷놀이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요즘 학생들은 기나긴
겨울
방학 때 뭘 하며 시간을 보낼까. 밀린 수학공부 하느라 놀 시간 없다고? 아니면 컴퓨터 게임과 인터넷 서핑하느라 밖에서 윷놀이 같은 건 할 시간 없다고? 만약 두 가지 모두 해당된다면 잠깐 짬을 내 가족들과 ... ...
동아사이언스 과학실험실 Joylab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조이랩입니다!”차가운
겨울
바람이 쌩쌩 불던 어느 날, 서울시 서대문구에 있는‘나무를 심는 학교’라는 공부방에 손님이 찾아왔어요. 커다란 짐 꾸러미를 들고 찾아온 사람들은 다름 아닌‘조이랩’선생님! 선생님이 들고 온 커다란 바구니 안에는 여러 가지 실험 기구들이 잔뜩 들어 있었어요.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맛을 보게 한 일이 있었습니다. 머지않아 식용을 허용하는 분위기가 되지 않을까요?”한
겨울
추위도 아랑곳하지 않고 허연 콧김을 내뿜으며 느긋하게 여물을 먹고 있는 소들을 바라보며 양 박사가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었다.복제동물 탄생의 역사1952년 양서류인 개구리 복제 성공을 시작으로 어류, ... ...
아이스호텔에서의 따뜻한 하룻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월 말 따뜻한 햇살이 들기 시작하면 눈 녹듯 사라지는 아이스호텔. 수명은 고작 한 달 반,
겨울
에만 생명이 유지된다. 사랑하는 마음만으로도 모두 녹아 버릴 것 같은 아이스호텔. 그래서 더 애틋하고 아름답게 보이는지도 모르겠다 ... ...
속 타고 긴장된 기상예보 1박 2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07:50하루가 지나고 다시 아침 브리핑 시간. 윤성득 예보관은 “오늘 아침 최저기온이 올
겨울
들어 가장 낮은 지역이 많다”고 전달한다. 브리핑이 끝나자 홍윤 예보국장의 ‘불호령’이 떨어진다. 한파가 문제였다. 예보관들이 한파를 예상하지 못했다는 얘기가 아니었다. 스포츠 중계하듯 한파가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서 교수는 오는 1월 26일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서 주최하는 ‘마이애미
겨울
심포지엄’에 초청돼 이 자리에서도 30대 남성의 게놈 지도를 공개할 계획이다. 한편 김 박사는 해독 결과를 ‘게놈 리서치’에 게재하기 위해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현재 세계적으로 자신의 게놈이 해독된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