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빌딩
건축물
건조물
집
사옥
옥사
구조물
d라이브러리
"
건물
"(으)로 총 2,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전사고 예방하는 '수호천사'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빨리 회복시켜야 했다. 자칫 핵연료봉이 녹아버리면 그 안에 있는 방사성 물질이 격납
건물
로 누출되고 사태가 계속 악화될 경우 원전 외부까지 새어 나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이를 막아주는 비상노심냉각장치(ECCS)가 몇 초 뒤 작동했다. 고압의 안전주입탱크에서 차가운 물이 원자로 안으로 ... ...
PART1. 세컨드라이프가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생각하기 때문이야.세컨드라이프를 이용하는 건 무료지만, 자신만의 땅을 갖고 그 위에
건물
을 지으려면 돈을 내야 해. 이 곳에서 사용되는 돈은‘린든달러’. 사이버 머니라고 할 수 있는데, 실제로 267린든 달러가 미화 1달러 정도야. 특히 주민들은 자신이 만든 가상공간의 필요 물품을 팔아서 돈을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떨어진다과밀상태의 도시에서 주택용으로서보다는 사무실용으로 만들어진 고층
건물
의 호칭 그러나 탑이나 기둥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뉴욕의 맨하턴 지구에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381m) 크라이슬러 빌딩(3188m), 세계무역센터빌딩(4123m) 등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데, 마천루(摩天樓)는 ... ...
물고기 움직임 모방해 풍력 발전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발생하는 난류를 이용해 꾸준히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에는
건물
같은 장애물이 많기 때문에 바람이 통과할 때마다 난류가 생긴다 ... ...
'트위스트' 춤추는 59층 빌딩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강조했다.홍익대 건축학과 이재인 겸임교수는 “풍력발전은 바레인의 세계무역센터
건물
에서 이미 시도된 기술”이라며 “풍력발전은 바람에 따라 유동적이라 풍력발전만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바레인 세계무역센터도 전체 전력의 15% 정도만 풍력발전으로 충당한다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현실공간에 덧씌워 HMD를 통해 보여주는 장치다. 넓은 캠퍼스에 처음 온 사람에게 학교
건물
들의 용도나 역사를 증강현실로 보여주고 목적지까지 길도 안내한다. 이를 관광지의 안내 시스템에 활용하면 훌륭한 여행가이드가 될 수 있다.하지만 HMD를 이용한 증강현실장치는 몰입감이 좋은데 반해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210m, 높이가 130m, 총 배수량이 5만8000톤에 이르는 거대한 배다. 축구장 두배의 길이에 30층
건물
높이다. 해저 바닥에서 2km 정도만 시추할 수 있었던 기존의 시추선과 달리 치큐호는 7~10km까지 시추할 수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이영주 박사는 “얇은 해양 지각의 두께는 6km ... ...
탈옥의 도구는 과학!?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구조다. 따라서 구멍을 낸다고 해도 압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을 것이다. 설사 벽에
건물
의 하중이 집중됐다 하더라도 그들이 뚫은 구멍의 크기가 작고 그 수가 너무 적었다. 결국 수사관들은 아브루찌와 수크레가 극한 상황에서 괴력을 발휘했다고 결론내렸다. 패토식의 사진기억, 정말 있을까 ... ...
거꾸로 돌아가는 계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쓰기 때문에 배전용 변전소를 거쳐야 한다. 이 곳에서 변압기를 거쳐 가정이나 학교,
건물
등에 전기가 들어간다.“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에서 사서 이걸 소비자들한테 파는 거예요. 그 값이 전기요금으로 나오는 거지요.”“그것 보게. 그러니까 가정집에서는 한국전력에서 전기를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생겨 대규모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내부밀도가 서울의 모든
건물
을 각설탕 하나의 부피에 압축한 정도에 해당하는 중성자별의 존재는 쉽게 인정받지 못했다.물론 1967년 펄서가 발견되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펄서가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란 사실이 밝혀졌기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