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뉴스
"
본
"(으)로 총 4,015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물체 휘는 느낌 전달하는 VR 컨트롤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연구팀은 이 컨트롤러를 활용해 강성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측정해
본
결과 기존 컨트롤러를 사용했을 때보다 사실감과 몰입감, 즐거움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성과로 미국컴퓨터협회(ACM)이 10월 23일 온라인으로 개최한 '사용자환경 소프트웨어와 기술(UIST) ... ...
코로나19 신규 환자 81일만에 다시 300명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230명을 기록한 17일 오후 서울 성동구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 ... 유럽 처음으로 200만 명을 넘겼다. AP통신에 따르면 스위스 제네바 세계보건기구(WHO)
본
부에서도 지금까지 65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 ...
'아름답지만, 치명적인' 과학 이미지로
본
코로나19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2(SARS-CoV-2)의 모습이다. 빨간색이 스파이크 단백질로 파란색의 바이러스
본
체가 인간 세포에 들어가기 위한 일종의 문을 여는 역할을 한다.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스파이크 단백질을 3D 프린터로 찍어냈다.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백신 등 감염에 핵심적인 역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암세포가 된다는 말이다. 암이 단순히 유전자 돌연변이의 결과라는 설명만으로는 암의
본
질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이유다. DNA 메틸화 관점에서 보면 나이가 들수록 암에 걸릴 위험성이 높아지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한편 DNA 가닥을 감는 실패인 히스톤 단백질의 특정한 위치에 있는 ... ...
전문가들 "정부 스스로 K방역 포기했나…1월 최악 찍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것이란 근거는 없다”며 “한국 뿐 아니라 전세계 북반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으로 기
본
적으로 확진자 수가 늘 것이라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이달 1일 개편된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와 관련해 기존보다 상당히 기준이 완화됐다"며 “개편안의 기준을 충족하면 원칙대로 거리두기를 ... ...
코로나19 이대로 가다간 2~4주뒤엔 하루 확진자 300~400명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6개월로 호흡기 바이러스의 항체 지속 기간은 대체로 짧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정
본
부장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항체 지속 기간은 현재 데이터가 전무하다"고 덧붙였다. ... ...
"CEO들, AI가 만병통치약이란 막연한 생각에서 벗어나 목표 분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1.15
반드시 공개된 자리에 올리고 많은 사람이 토론하고 테스트 베드를 통해 직접 시험해
본
다. 답변이 안되는 경우는 없다는 것이다. 이 고문은 “사람은 적은 정보로도 많은 일을 처리하지만 AI는 항상 빅데이터가 있어야 한다”며 “넷플릭스 역시 사무실에서 온종일 영화를 보며 직접 추천 ... ...
코로나19 하루 확진 208명 이틀연속 200명대…"1.5단계 격상 턱밑까지 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5
상향 조정할 수밖에 없다며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를 재차 당부하고 있다. 임숙영 방대
본
상황총괄단장은 14일 브리핑에서 “지금은 거리두기 단계 격상이 사실상 턱밑까지 왔다고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금과 같은 신규 환자 증가 추세가 지속돼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 조정된다면 여러 ... ...
[인간 행동의 진화] 사주명리학의 운명
2020.11.15
총 51만8400개가 전부다. 남녀를 나누어도 100만여 개에 불과하다. 그래서 어떤 역술가는
본
인 사주와 관상, 부모 사주까지 모두 봐야 한단다. 하지만 그런 여러 결과를 어떻게 엮을지는 오로지 ‘역술가의 재량’이라는 것이다. 재량이라니 당첨자와 사주팔자가 같은 사람은 아주 많지만, 벼락부자가 ... ...
[잠깐과학]물리학자는 왜 월드와이드웹을 개발했을까
2020.11.14
여러분도 크롬 같은 웹브라우저에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할 때 앞에 ‘www’가 붙는 걸
본
적이 있을 겁니다. ‘www’는 URL이라는 고유한 주소를 이용하는 정보 검색 시스템입니다. CERN에서 개발됐습니다. CERN은 1980년대까지 데이터를 여러 컴퓨터에 나눠 저장하는 바람에 하나의 정보를 찾으려면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