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중
서민
군중
백성
집단
민생
국민
뉴스
"
대중
"(으)로 총 2,145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
2018.03.15
호킹 박사는 한국과 인연이 깊지는 않은 편이다. 1990년 가을과 2000년 여름 두 차례 찾아
대중
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강연을 한 게 전부다. 그가 지도한 학생 중에 한국인 제자는 없었다. 하지만 많은 한국 학자가 그와 대화하거나 그를 학회에서 만난 기억을 강렬하게 추억했다. 그는 6년 전 런던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울리는 등 오피니언 리더로도 활약했다. 그는 늘 “과학기술을 진보시키기 이전에
대중
과 사회가 그에 따른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준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이 인류에게 위협이 돼선 안 된다는 뜻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위험성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했다. 지난해 11월 포르투갈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해결 가능성을 타진해 물리학계에 근원적이고 거대한 화두를 던졌다”고 말했다.
대중
에게 천체물리학을 알린 공로도 빼놓을 수 없다. 1988년 출판한 ‘시간의 역사’는 전 세계에 110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가 됐다. ‘호두껍질 속의 우주’ ‘조지와 빅뱅’ ‘청소년을 위한 시간의 역사’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대학의 석좌교수인 스티븐 호킹. 그는 아인슈타인 이후 최고의 스타 과학자이다.
대중
적 인지도만 높을 뿐, 실제 그의 연구 업적에 비해 명성이 과대포장돼 있다는 비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블랙홀과 양자물리학을 결합해 우주와 시간의 기원을 탐구한 그의 연구는 분명 과학의 역사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책의 판매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인정했다. 그 뒤에도 호킹은
대중
과학서를 몇 권 더 썼고 딸 루시와 함께 작업하기도 했다. A Brief History of Time (1998) - Amazone.com 제공 호킹은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질 주제에 대해 의견을 내는 걸 주저하지 않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새로운 우주 탐사의 목표를 이룰 날을 기다리기도 했다. 위대한 우주물리학자이자
대중
에게 친근한 과학자인 호킹 박사를 추모하며 2013년 출간한 회고록 내용을 마지막으로 기사를 마친다. “병 진단을 받은 당시 나는 인생이 끝났다고 생각했고, 내가 가진 잠재력을 결코 깨닫지 못했다. ... ...
[속보] 영국의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상을 받았지만, 아쉽게도 노벨 물리학상을 받지는 못했다. 한편 그가 1988년 펴낸
대중
과학서적인 ‘시간의 역사’는 발간 직후 전 세계에서 1000만 권 이상 팔리며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영국의 ‘런던 선데이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 237주 동안 실리는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특이하다는 걸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즉 다른 사람들도 그런 줄 알았는데
대중
매체에서 공감각을 다루면서 점차 자신이 특이한 능력을 지닌 걸 알게 됐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필자는 솔직히 공감각 소유자가 그렇게 흔하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지금까지 살면서 주변에서 공감각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강력한 신념에 가려질 뻔한 네안데르탈인의 진실
2018.03.11
대중
문화에서 원시인의 대명사로 취급되는 네안데르탈인. 최초의 네안데르탈인은 어떻게 발견된 것일까요? 그리고 사람들은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오늘은 네안데르탈인을 둘러싼 재미있는 뒷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네안데르탈인 모형 -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
2018.03.10
하자. 여성은 알 수 없는 존재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류의
대중
적인 믿음처럼 여성과 남성은 근본적으로 다르며, 여성은 속을 알 수 없는 존재라고 보는 사고방식이다. 여성은 믿을 수 없고 속임수를 쓰는 존재, 겉과 속이 다른 존재라는 믿음도 깔려있다. 여성은 자신의 의도를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