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3,9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버드 의대 연구진 "탄저균 독소의 통증 차단 효과 확인"
연합뉴스
l
2021.12.21
조직이다. 탄저균이 만드는 단백질 중 하나인 '방어 항원(PA)'이 신경세포 수용체와
결합
하면 세포막에 통로 역할을 할 미세 구멍이 생겼다. 그러면 다른 2종의 탄저균 단백질, 즉 '부종 인자(EF)와 '치사 인자(LF)'가 이를 통해 신경세포 내로 전달됐다. EF와 LF를 묶어서 '부종 독소'라 하는데 ... ...
전세계 백신·항체치료제 오미크론 변이에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단백질에 약 30여개의 변이가 생겨 기존 항체 치료제가 오미크론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
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오미크론에 대응할 새 항체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지만 수개월 이상 필요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영국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개발한 항체 치료제는 오미크론에도 일부 ... ...
공룡은 온혈 동물?…브론토사우루스 생리는 달랐다
연합뉴스
l
2021.12.20
제공/ 이 기사에 한정해 사용/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연구팀은 이를 기후 자료와
결합
하고 서식지 모델링을 통해 용각류의 서식 환경을 분석한 결과, 수각류나 조반류와 비교해 더 따뜻하고 건조한 지역에서 서식했다는 결론을 얻었다. 오늘날로 따지면 사바나와 비슷한 개활지 환경에서 ... ...
[인터뷰]서양의학과 함께 발전하는 길 찾는 한의학 연구자
동아사이언스
l
2021.12.20
같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한의학을 현대과학에
결합
하는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동의보감에 담긴 철학이나 의학, 한의학적 배경을 과학적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고 싶었다”며 “국가 사업이다보니 논문과 같은 가시적 ... ...
[표지로 읽는 과학]올해 최고 연구 성과 '로제타폴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9
단백질은 아미노산 서열을 아는 것만으로는 특성을 알기 어렵다. 2차구조가 어떻게
결합
하고 얽혀 3차 구조, 4차 구조가 되느냐에 따라 모양과 성질이 달라져서다. 단백질 입체 구조를 알아야 체내에서 이 단백질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 수 있고, 단백질 이상으로 생기는 알츠하이머 치매나 ... ...
[프리미엄 리포트] 마법 같은 식욕억제 효과에 숨은 부작용
과학동아
l
2021.12.18
마른 몸매를 선망하는 ‘프로아나족(찬성한다는 뜻의pro와 거식증(anorexia)을
결합
한 신조어)’의 욕망을 채우는 수단이 되고 있다. 남인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식약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식욕억제제를 처방 받은 전체 환자 가운데 91.7%는 여성이었다. 이는 남성의 ... ...
홍합·멍게 특성 모사 암세포만 집중 공격 나노항암제 개발
연합뉴스
l
2021.12.17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멍게에서 빛과 전자가 이동하도록 돕는 카테콜·바나듐
결합
을 홍합접착단백질에 적용해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 나노입자에 적외선을 쬐면 5분 안에 50도까지 온도가 올라가고 광열 전환 효율도 약 50%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 접착력으로 암세포에 오래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생체 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사용이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특정 유전자에만
결합
하는 효소를 이용해 원하는 DNA 부위를 정확히 자르는 유전체 교정 기술로 2012년 등장해 빠른 속도와 높은 정확도로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꿀 신기술로 주목받는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시력을 ... ...
18kg 들고 계란 집고 핀셋으로 작은 칩 옮기는 로봇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위해 새로운 병렬과 직렬 매커니즘 기술을 접목했다. 그런 다음 여기에 촉각 센서의
결합
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매커니즘을 만들어 냈다. 연구팀은 “손가락 크기의 좁은 공간에서 손가락의 가장 안쪽 관절에서의 두 방향 움직임과 중간 관절의 한 방향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은 어렵다”며 “새로운 ... ...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IBS 단장, 막스플랑크 '칼 프리드리히 본회퍼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분자의 양자역학 특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사터널링현미경(STM)과 전자스핀공명(ESR)
결합
에 처음 성공해 세계 처음으로 표면 위 원자 하나의 자기공명영상(MRI)을 관찰하기도 했다. 하인리히 단장은 “학제 간의 연구에 공헌한 과학자에게 주는 상을 수여하게 되어 매우 뜻깊고 영광이다”고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