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용적
크기
부피
부피가 큼
막대함
거인성
뉴스
"
거대함
"(으)로 총 1,474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수 저편에서 ‘유령입자’ 샘솟는다
2015.08.20
얼음으로 뒤덮인 남극점 위에 설치된 아이스큐브 검출기의 모습(붉은색 장치). 빙하 밑에 표현된 구슬 모양의 그래픽은 광검출기가 중성미자가 뮤온 입자를 만들 때 생성되는 빛을 포착한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 IceCube Collaboration 제공 국제 공동연구진이 남극에 설치된 중성미자 검출기 ‘아이스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우리의 목표는 정보를 모으거나 호기심을 충족시키는데 있는 게 아니라, 지금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결국은 사람들의 고통으로 귀결된다는 사실을 깨달은 뒤 우리 각자가 어떤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는지 찾는데 있다. -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에서 지난 봄 필자는 한 기관에서 과학강연을 ... ...
티라노사우루스가 육식 즐기는 이유, 알고 보니…
2015.07.28
수각류 공룡인 고르고사우루스가 다른 공룡을 잡아 먹는 상상도. - 다니엘 듀폴트 제공 영화 ‘쥬라기 공원’의 주인공인 거대공룡 티라노사우루스 렉스. 티라노사우루스 렉스가 다른 공룡을 잡아먹을 때 고기 맛을 제대로 느끼게 하는 데 이빨이 큰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키얼스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수학적 쿼크는 영원히 갇혀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그런 특성을 통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현실적 입자들을 만들어낸다. - 머리 겔만 필자는 책의 장르 가운데 전기를 즐겨 읽는데 10여 년 전 물리학자 머리 겔만(Murray Gell-Mann)의 전기 ‘스트레인지 뷰티’를 읽을 때 깊은 인상을 받은 기억이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태초의 모습은 수십억 년 동안 이어진 침식과 판의 운동에 의해 지표면 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몇 군데는 아직 그 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서호주가 바로 그런 곳이다. 이곳에서 오래 전 지구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은 세계에 몇 안 남은 초기 지구의 대륙지괴가 이곳에 ... ...
서울대 우주전문대학원 생긴다
2015.06.29
미래창조과학부가 국내 우주개발 자립 역량을 높이기 위해 우주전문대학원 과정을 신설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우주핵심부품 국산화에 나선다. 미래부는 2015년도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다음달 1일부터 본격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전 분야(△우 ... ...
‘포니’는 ‘스마트(SMART)’한데 ‘한탄’은 왜?
2015.06.24
최초의 국산 자동차 ‘포니’, 한탄바이러스 백신, 중소형 원자로 ‘스마트(SMART)’. 미래창조과학부가 올해 광복 70주년을 맞아 그동안 과학기술의 역할을 조명하기 위해 대표 성과 70선을 선정했다. 1940~1950년대에는 기관이나 개인의 연구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시기로 현신규 박사의 ‘산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백신 없는 이유, 경제성 없어서”
2015.06.16
메르스 바이러스.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국내에서 확산 중인 메르스는 2012년 중동에서도 크게 유행했지만 여전히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다. 메르스의 원인인 메르스 바이러스(MERS-coV)의 분자 구조가 밝혀진데다 메르스 바이러스가 10년 전 중국에서 유행한 사스 바이러스(SARS-CoV)와 비 ... ...
명왕성 주위를 도는 위성의 원동력은?
2015.06.07
네이처 제공 톱니 바퀴와 천체. 이번주 ‘네이처’ 표지는 태양계를 기계 장치처럼 표현했다. 금색 톱니 위에 있는 가장 큰 천체는 얼마 전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된 명왕성이고, 명왕성 옆으로 나란히 있는 천체는 명왕성의 거대 위성으로 알려진 ‘카론(Charon)’이다. 나머지 4개는 명왕 ... ...
거대마젤란망원경(GMT) 설계 끝, 건설 스타트
2015.06.03
국내를 포함한 5개국 10개 국제연구기관이 공동으로 건설하는 세계최대 광학망원경인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들어설 예정이다. 아타카마 사막은 공기가 깨끗하고 주변에 인공광이 없어 세계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지역으로 꼽힌다.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세계에서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