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실"(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신장과학동아 l1997년 03호
- 대부분은 물이며, 단백질을 비롯한 영양분과 노폐물이 포함돼 있다. 이때 혈장만을 확실하게 걸러낸 후 환자에게 되돌려주고, 혈구 성분은 그대로 반환시킨다.현재 개발된 정화시스템의 크기는 탁상용 PC정도. 앞으로는 자연신장의 정화능력에 필적하면서 휴대형 정도의 크기를 가진 인공신장이 ...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과학동아 l1997년 02호
- 오른쪽으로, 그 후로는 계속 왼쪽으로 하는 식이다.미로 정원을 만든 이유는 확실치 않다. 태어날 때부터 시작해 최후의 심판을 맞아 속죄할 때까지 계속되는 인생의 여로를 의미한다는 설명도 있고, 성스러운 나라로 향하는 순례자의 길을 표현한다는 해석도 있다. 또 단순히 호기심을 끌고 눈에 ...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1. 전자시대 최대의 발명품 TV과학동아 l1997년 02호
- 영상을 보여주는 것일까.오늘날 대중문화의 꽃이라고 불리는 TV를 누가 발명했는지는 확실하게 말하기 어렵다. 1884년 독일인 닙코프는 전기신호를 영상으로 바꾸는 장치를 발명해 TV의 원리를 처음으로 설명했다. 하지만 오늘날 TV수상기로 쓰이는 브라운관(CRT)이 독일인 브라운에 의해 발명된 것은 1 ...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4. 정보전자의 시대과학동아 l1997년 02호
- 8천2백92억달러,99년에는 9천6백70억달러 수준에 달한 다음 2000년이면 1조달러 돌파가 확실하다는 것이 데이터퀘스트의 예상이다.그 중에서도 이동통신분야가 2000년에는 6백억달러로 해마다 20% 이상 커져 성장전망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됐다.또 컴퓨터도 94년 1천1백85억달러에서 2000년에는 1천7백8 ... ...
- 과학윤리과학동아 l1997년 02호
- 누가 명성을 얻든 문제거리가 될 것인가?나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과학은 확실하고 믿을만한 결과를 필요로 하며, 과학자가 정직한 정도까지만 발전하기 때문이다. 과학은 실험을 통해 생각을 시험하고 참과 거짓을 증명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믿을만한 결과를 ... ...
- 2. 음식 속에 숨은 영양소 어떻게 알아내나과학동아 l1997년 02호
-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 음식 속에 들어있는 기체는 이산화탄소인 경우가 많다. 더 확실하게 알려면 발생한 기체를 석회수에 통과시켜 보면 된다. 단백질 속에는 질소가 들어 있다. 소다석회를 넣고 음식물을 천천히 가열하면 단백질은 분해되고 천천히 암모니아 기체가 발생한다. 암모니아 기체는 ... ...
- 백상어 보호 작전 개시과학동아 l1997년 01호
- 필름 안에 드러나는 명암의 차이다 예를 들어 달빛이 밝은 계곡처럼 어둡고 밝은 부분이 확실하게 구분될 때 콘트라스트가 강하다고 말한다 콘트라스트가 강하면 노출 관용도는 좁아지기 때문에 보다 정확히 노출해야 한다생물이나 물체가 발하는 열을 감지하는 특수 필름이다 원래 식물의 분포를 ... ...
- Ⅰ. 현지취재, 미국 라인연구센터과학동아 l1997년 01호
- 던지곤 했다.하지만 주사위를 던지고 맞추는 방법은 무척 지루했다. 뭔가 눈에 보이는 '확실한' 증거가 필요했다.옛소련의 초능력 연구이 증거는 1970년 10월 옛소련 레닌그라드 호텔의 한 방에서 마련됐다. 동구와 서구의 과학자들이 긴장된 표정으로 한 사람을 기다리고 있었다. 잠시 후 중년의 ... ...
- 2. 서비스로봇 빅4과학동아 l1997년 01호
- 현실. 그러나 서비스 로봇은 그 무한한 활용도 때문에 앞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 확실하다.건설벽돌 쌓기에서 바닥 연마까지토목·건설 분야는 인간이 하기 싫어하는 대표적인 3D작업(difficult, dirty, dan-gerous)이다. 산업용 로봇이 사람이 하기 힘들어 하는 용접분야에 가장 먼저 확산됐듯이, ...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과학동아 l1996년 12호
-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에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자료가 없어 확실하지 않다 다만 삼국시대 후기나 통일신라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기록상으로는 물을 동력으로 한 수격식(水擊式) 혼천시계가 1437년 이천, 장영실 등의 감독하에 제작되었고 현종 10년(1669년)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