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4컷 만화] 치타처럼 쌩! 질주하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약 25배 정도 거리를 달리는 치타보다 약 3배 정도 빠르게 움직이는 거죠. 연구에 참여
한
마틴 칼텐브루너 교수는 “이 로봇이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보며 놀랐다”며 “나중에 의료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자기장 : 자석의 힘이 미치는 공간 ... ...
[이달의 과학사] 1895년 9월 15일 최초의 인공감미료 사카린 특허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1870년대 말의 어느 날, 러시아의 화학자 콘스탄틴 팔베르크는 지친 채 집에 돌아와 저녁을 먹고 있었습니다. 그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화학 ... 연구원이 상사의 말을 잘못 듣고 염소 화합물을 맛본 덕에 발견되었습니다. 수많은 달콤
한
발견 뒤에 부주의와 우연이 끼어들었던 셈이지요 ... ...
[기획] 도심 속 빗물 어쩌다 갈 곳을 잃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있었던 일”이라며 “강남 지역의 푹 들어간 지형 특성과 더불어 과도
한
도시화가 유발
한
결과”라고 말했어요. 강남 지형은 주변보다 지반이 움푹 들어간 형태입니다. 따라서 과거에도 비가 이례적으로 많이 내리면 주변의 물이 흘러들어와 침수가 일어나곤 했습니다. 지난 2011년 홍수 때도 ... ...
[지구사랑탐사대] 여름캠프,천리포에서 자연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꽃잎은 다른 꽃잎에 붙어 영양분을 뺏어버리기 때문에 무궁화의 시든 꽃잎을 따 줘야
한
다”고 말했어요. 마지막 날 대원들은 이틀 간 찍은 사진들을 모아 빙고 게임을 하며 캠프를 마무리했지요. 캠프를 마치며 자연과인간팀의 조윤성 대원은 “지구사랑탐사대에 3년 째 참여하면서 현장 교육을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 화가가 그려가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방학 내내 미루던 그림 일기. 숙제는 스스로 해야하건만…. 푸푸는 과학마녀 일리의 도움으로 일기 속 그림은 간신히 해결했어. 무슨 말이냐고? 일 ... 메일 계정과 휴대폰 인증이 필요하므로 보호자와 함께 체험하는 걸 추천해요. 체험 후 제작
한
그림을 올려주거나 느낀 점을 적어 주세요 ... ...
[찰칵! 전시회] 그림 속에서 수학을 찾아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8호
예술 작품을 통해 얻는 감정과 닮았다고 생각해요! 어수동 : 독자에게
한
마디!주변을 둘러보면 생각보다 많은 곳에 수학이 녹아 있어요. 내가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은 생각과 가장 잘 어울리는 수학 개념을 찾아보세요. 생각과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작품 완성의 70%라고 할 수 있을 ... ...
[꿀꺽! 수학
한
입] 신나게 공부하는 법, 수학왕 찐선배에게 물어봐~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8호
수학에 대
한
궁금증을 해결
한
다는 마음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저는 수학과 관련
한
책이나 잡지를 읽으면서 학년에 상관없이 수학을 접했던 경험이 도움이 많이 됐어요. 어수동 : 취미도 수학과 관련이 있다고요? 제 취미는 ‘스포츠스태킹’이에요. 12개의 컵을 빠르게 쌓고 내리는 스포츠 ... ...
[만화 뉴스] 이 기계로 화성에서 호흡할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산소를 분리해내기 위해 약 800℃의 온도가 필요했어요. 플라즈마 리액터는 고온 없이도
한
시간에 산소 14g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목시가 만드는 산소의 두 배가 넘는 양이랍니다 ... ...
[가상 인터뷰] 에취! 해면이 재채기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통해 해면에서 나온 점액이 일정
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
한
움직임의 원인에 대해서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 ...
[기획] 지구 덮친 폭우 자연재해 아닌 인재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올여름, 감당 못 할 정도로 거대
한
폭우가 우리나라를 비롯
한
지구 곳곳을 덮쳤어요. 기후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사람 때문이라고 해 ... 목소리를 지속해서 내며 정책에 반영되도록 하는 게 시민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방법이 있겠죠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