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중심이며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산마르코광장에 관한 얘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필자
에게 유럽에서 연구할 좋은 기회가 주어져 베네치아를 방문한 적이 있는데, 진정 이색적인 도시였고 가볼만한 곳이라고 느꼈다. 산마르코교회 앞에 있는 산마르코광장은 전세계 여행자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 ...
1992를 해부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통해 고질적인 수학알레르기증상을 치유하고 수학과 보다 친밀해지기를 기대하면서.1.
필자
는 '과학동아' 1990년 12월호에서 1991년을 맞아 1991=11*181(11,181은 각각 솟수)로 해부할 수 있으며 이밖의 다른 성질을 찾아 보자고 쓴 적이 있다. 이번에는 1992년을 맞이해 이 숫자의 성질을 연구해 보자. 1992를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필자
가 찾아볼 수 있었던 가장 최근의 자료에 의하면 현재까지 4천8백여개의 소행성들이(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태양궤도를 도는 조그마한 천체들)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소행성들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그것이 뭐가 중요하냐고? 우선, 소행성들은 어쩌면 태양계에서 가장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또한 통해서도 안된다. 철저한 개념의 이해만이 천문학 학습의 바른 방법인 것이다.
필자
가 물리과목을 맡아 고등학교 교단에 잠깐 섰던 대학원 시절, (그림4)와 같은 직교좌표계에 y=sin x 그래프를 그려보라고 담당 학생 모두에게 시킨 적이 있었다. 놀랍게도 단 한 학생도 그리지 못했다. π값이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무엇보다 자만하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정상을 지킨다는 것도 그리 어렵지는 않다.
필자
는 그동안 수많은 발명가와 발명을 기업화하여 성공한 사람들을 만난 바 있다. 이들의 발명은 '콜룸부스의 달걀'처럼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새롭게 도전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다시 말해서 '누구나 할 수 ... ...
종합 의학 연구기관 설립 더 늦출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즉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체제를 갖춰야 할 것이다. 기초의학기술은 많이 낙후돼 있어
필자
가 좋은 모델로 꼽고 있는 외국의 예는 이스라엘의 와이츠만연구소(Weizman Institute)다. 세계에 흩어져 있는 유태계 학자들이 이 연구소에 수시로 드나들며 최신지식을 공급하고 후진들을 양성하고 있다.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리스프는 생소하고 꺼림칙하게 느껴진다. 이런 교육환경은 빨리 고쳐져야 할 것이다.
필자
역시 포트란 세대여서 스스로 짠 리스프 프로그램을 보면 마치 국민학생이 삐거덕거리며 바이올린을 연습하는 느낌을 받는다. 이후 리스프는 개량을 거듭해 미국내에서 움직일 수 없는 자리를 잡게 됐다.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989년부터 ITU(국제 전기통신연합기구)에서는 우주쓰레기 처리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필자
도 제4분과위원회 실무작업반에 소속돼 있었는데, 이때 위성공동묘지(satellite grave yard)를 만들기로 했다. 말하자면 이른바 고려장(高麗葬)제도다. 노쇠한 사람을 산채로 토굴에 버려두었다가 죽은후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동물원에서 일하는 사육사들이나 수의사들조차도 뱀에게만은 그리 정을 느끼지 못한다.
필자
역시 뱀 근처에는 접근하기 싫었지만 다만 의무감으로 다가갔을 뿐이었다.그러나 뱀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몹쓸 동물은 아니다. 쥐와 해충을 잡아먹는 등 인간에게 도움을 주기도 한다.뱀은 대개 정적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홀로그램의 제작은 가능한가. 현재 여러곳에서 자연색 홀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는데,
필자
가 직접 본 최근의 완전 컬러 홀로그램은 반사식 홀로그램의 발명자인 소련인 과학자 유리 데니슈크가 직접 제작한 것이다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