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10월 발사 ‘누리호’ 첫 연소시험 3월엔 ‘차세대중형위성’ 발사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통제가 문제없이 이뤄지는지를 30초간 시험했다. 4기의 엔진을 묶어서 시험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3월에는 1단 엔진에 공급된 추진제를 모두 소진하는 127초 종합연소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한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3월 20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정밀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양한 종류의 대형 양치식물이 지구 전역에 퍼져 번성했습니다. 나무 형태의 식물도 처음 등장했고 키가 20~30m까지 자라 숲을 이뤘습니다. 광합성으로 산소가 많이 만들어졌고 대기 중 산소 비율이 30% 이상으로 대폭 증가했습니다. 그 결과 대형 곤충류가 출현했습니다. 길이가 최대 2.6m에 이르는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제대로 싸운 적이 없으므로, 이번 경기는 지구 생명체와 칼리토포스, 모두 실격패다.”처음 경기의 공식 결과는 그렇게 발표됐다. 모든 정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결론이었다. 그러나, 이 경기를 신성시하는 우리우리스족의 문화는 이 결론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곧 결론에 ... ...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부팀장이 설명했다. 온실 내부에서는 이미 꽃을 만개한 형형색색의 장미들 사이에 생전 처음 보는 장미가 눈에 띄었다. 내 손에서 탄생하는 신품종흔히 대부분의 장미가 야생에서 태어난 품종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현재 화훼농가에서 재배되는 대부분의 장미 품종은 야생종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밝힌 게 대표적이다. doi: 10.1038/nature13302 김 교수는 “유전체 지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인간의 모든 정보를 알아냈다고 생각했지만, 단백질을 들여다보면 유전체 지도만으로는 알 수 없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김 교수의 목표는 한국인의 단백체 지도를 만드는 ... ...
- [그래프뉴스] 친환경 전기차가 쓰레기를 만든다고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사용하기 어려워요. 우리나라에서 전기차가 도로에 다니기 시작한 건 2011년부터인데요, 처음에는 전기차가 많지 않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많아졌어요. 전기차의 다 쓴 배터리도 점점 많아질 수밖에 없죠. 환경부는 1년 동안 버려지는 전기차 배터리의 수가 2024년에 약 1만 개, 2040년에는 약 69만 ... ...
- [이달의 과학사] 1920년 2월 3일 ‘하임리히 요법’의 창시자 헨리 하임리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상황에서 요법을 써본 적이 한 번도 없었어요. 패티 할머니의 목숨을 구한 그 순간이 처음이었던 거죠. 그후 반년도 지나지 않은 2016년 12월 17일, 헨리 하임리히는 96세로 세상을 떠났답니다. 용어정리* 기도 : 호흡할 때 공기가 지나는 통로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에프매스가 행사에 갈 확률이 크고, 작을수록 행사에 갈 확률이 작다고 예측합니다. 처음에 주어진 가중치와 편향은 임의의 값이기 때문에 AI가 예측한 것이 틀릴 수도 있어요. 그래서 AI는 계산한 값이 실제 값과 얼마나 다른지를 스스로 계산해 가중치를 수정하는데요, 이때도 ‘손실함수’라는 ... ...
- [매스포터] 국제표준도서 마지막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리고 처음 더미를 나눌 때 4번 더미 위에 있던 카드 3장이 다른 더미로 옮겨지죠. 즉 처음에 4번 더미 위에 네 개의 에이스가 있도록 더미를 나누면, 마술을 진행한 후 네 개 더미 맨 위의 카드는 모두 에이스 카드가 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조건을 만족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펜로즈 과정과 젤도비치의 실험 방법은 지난해에야 처음으로 증명됐다. 다니엘 파치오 영국 글래스고대 물리 및 천문학부 교수팀은 음파와 회전하는 흡음기를 이용해 커 블랙홀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펜로즈 과정이 실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 지난해 6월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