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발견된 것은 118개의 원소와 3000여 개의 동위원소뿐이다. 동위원소의 대부분이 자연에 존재하지 않고, 인공적으로 만들어도 순식간에 사라져버리기 때문이다. 매우 희귀하고 수명이 짧다는 의미에서 이들은 ‘희귀동위원소’라 부른다. 미지의 70% 원소 탐색중이온가속기는 희귀동위원소를 만들고 ...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토토처럼 꼬리잡기 선회행동을 하거나 빛이나 그림자를 쫓아다니는 행동,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파리를 잡는 것 같은 행동, 옆구리를 빠는 행동, 말단 부분을 지속해서 빠는 행동, 반복적으로 이물을 먹는 이식증, 물건을 반복적으로 빨고 싶어 하는 행동 등이 해당합니다. 이런 강박장애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우리 몸무게의 2%를 차지하는 것도 미생물, 탄생의 순간에 신생아가 가장 먼저 맞이하는 존재도 미생물이다. 아기는 엄마의 산도를 지나며 미생물을 온몸으로 맞닥뜨린다. 하지만 ‘동거인’인 미생물에 대한 우리의 취급은 남보다도 못하다. 일부 미생물이 전염병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스턱만과 구오시 앙 장이 각 단계에 무작위로 구슬과 핀이 있을 때 이에 해당하는 암호가 존재하는지 결정하는 문제가 ‘NP-완전’임을 밝혔습니다. NP-완전은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의 복잡도가 비슷한 문제끼리 모아둔 집합 P, NP, NP-하드, PSPACE 중 NP와 NP-하드에 속하는 문제예요. 마스터마인드는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끝이 있다는 거죠. 공간이 유한한지, 무한한지에 대한 질문은 ‘사물이 없어도 공간이 존재할까?’라는 질문으로 이어졌어요. 이에 대해 뉴턴은 사물이 있든 없든 절대 움직이지 않는 공간을 ‘절대 공간’이라고 불렀어요. 반면 라이프니츠는 공간이 사물들의 관계일 뿐이라 공간만 홀로 있을 수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눈알처럼 부드러운 부분은 썩어 없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식공룡에서 깃털의 존재를 주장하는 이유는 화석에 깃털 자국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공룡의 깃털 화석은 몸 색깔을 추정하는 단서도 된다. 깃털에는 수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색소 주머니(멜라닌 소포체)가 있어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다. 인간은 살아 움직이는 지구를 지배하려고 하기보다는 이해하고, 생물권 내에 존재하는 구성원 중 하나로 다른 권역과 올바른 방향으로 상호작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산사태, 환경 파괴에 의한 서식지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합성된 DNA뿐 아니라 DNA의 일부를 고치는 과정 중에도 섞여 들어갈 수 있다”며 “BrdU의 존재만으로 새로운 뉴런이라고 단언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하지만 이 연구결과가 신경세포 생성에서 정설로 인정받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오우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장은 “실험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물을 계속 따르면 결국 넘쳐흐르듯, 우주에는 더 이상 큰 원소가 존재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중성자별은 이런 원소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라온의 희귀동위원소 빔이 가장 먼저 도달하는 KOBRA는 이런 한계를 넘어선 원소의 특이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다. 홍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단위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구팀은 가볍고 무거운 두 가지 구조의 물 분자가 동시에 존재하며, 두 상태가 서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여러 가설 중 두 구조의 물 분자가 공존하면서 4도 이하에서는 가벼운 구조의 물 분자가 늘어난다는 ‘LLCP(Liquid-Liquid Critical Point)’ 모델을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