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2진수 메시지의 각 자릿수의 합이 짝수가 되게 추가로 넣은 수를 일컫는다. 어떤 자리에서 오류가 났는지도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자릿수의 조합마다 짝수가 되는 수를 넣어 여러 개의 해밍부호가 붙는다. 결국 해밍부호를 써서 메시지를 보냈을 때 2진수의 합이 홀수면 오류가 있다는 뜻이 된다 ... ...
- [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강금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항상 아쉬웠어요. 퍼즐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앞으로 많아지면 좋겠네요. 전 그 자리에 꼭 참석합니다!# 퍼즐과 보드게임을 주제로 떠드는 자리, 수학동아가 여름에 마련할 예정이다. 무더운 여름, 유희수학 열기로 무더위를 물리치는 건 어떨까? 평소 재미있게 즐겼던 보드게임이나 너무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자릿수가 큰 수를 소인수분해해야 들어올 수 있는 문을 만든 것이었다. 당시 연구팀은 129자리의 자 연수, ‘RSA129’를 내놓고 소인수분해하는 이에게 100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하겠다고 했다. 수학자들은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1600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8개월간 작동시킨 끝에 20여 년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멀 리서 보면 로봇이 팔로 벽을 붙잡고 비틀거리면서 달리 는 것 같지요. 게다가 각 자리에 센서가 있어 탑승객의 심장박동수와 혈압을 실시간으로 체크한답니다. 인공 지능을 통한 진단과 원격진료가 항시 대기하고 있으니 안심하고 스릴을 즐기세요.똑똑하게진화한동물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두근두근 비밀 편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위치가 서로 달라져요. 그래서 눈에 보이는 대로 물고기에게 손을 뻗어도 물고기는 그 자리에 없기 때문에 잡히지 않는답니다.●실험 방법 하나. 붉은 양배추로 비밀 편지 만들기●실험 방법 둘. 물에 넣으면 나타나는 편지!● 매질 : 파동을 전달하는 물질 또는 빛이 이동하는 공간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 비슷한 것조차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덕분에 프라이스는 그 자리에서 UCL의 스미스 교수 실험실의 연구원으로 발탁됐다. 무보수였지만 독립적으로 연구할 개인 사무실 열쇠도 받았다. 프라이스가 그토록 좇아온 꿈이 드디어 실현되는 참이었다.모든 사람을 똑같이 사랑하는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뇌에는 이렇게 내 ‘위치’를 담당하는 세포가 있다.대뇌의 좌·우 측두엽 안쪽에 깊숙이 자리한 해마는 CA1에서 CA4까지 네 가지 부위로 이뤄져 있다(125쪽 그림).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존 오키프 교수는 1971년, 우리의 위치가 달라질 때마다 A1에 있는 피라미드 세포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합니다.”얼마 후에는 “선생님, 시청 방재팀 직원하고 기상청 담당자하고 다 모이는 자리를 주선할 테니, 한번 만나서 이야기하시죠”라는 대답도 돌아 왔고, “최대한 빨리 진행하겠습니다만, 금년은 예산 부족으로 어렵습니다”라는 대답도 나왔다. 결국 우리 시의 이상한 기후를 전국 TV ...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다시 커지면서 물결 모양을 만들어요. 오르락내리락하다가 360°(=2π)가 되면 처음 자리인 0으로 되돌아옵니다. 그리고 다시 똑같은 그래프 모양을 반복해서 그리는 주기함수지요.y값이 사인이었다면, x값은 코사인, 사인을 코사인으로 나눈 값은 탄젠트입니다. 셋을 합쳐 삼각함수라고 하지요. 수학과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쏘아 올렸다. 바로 그 유명한 ‘아레시보 메시지’다. 1과 0, 두 가지 신호로 이뤄진 1679자리의 아레시보 메시지는 2차원으로 바꿔야 해석이 가능하다. 신호를 일렬로 죽 늘어놓으면 아무 규칙이 없는 0과 1의 나열일 뿐이다.여기서 1679라는 수가 중요하다. 73과 23의 곱으로 이뤄진 수인데, 이 두 수는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