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사용자가 이미지를 올리면 딥드림은 이걸 작게 쪼개요. 그 다음, 쪼갠 부분에서 동물의 일부와 비슷한 부분을 찾아내지요. 비슷한 부분은 고정하고, 주변 부분을 조금씩 바꿔서 동물의 형상으로 완성해요. 그 결과 평범한 사진도 동물이 곳곳에 박혀 있는 새로운 이미지로 바뀐답니다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이들이 많은 것도 걸림돌이다. 이런 경우 선택하는 방법이 일부 참여자에게 관리자 권한을 부여하는 ‘프라이빗(컨소시엄) 블록체인’이다. 중개기관이 모든 거래에 관여하는 현행 시스템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특성을 모두 가진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 골드만삭스, ... ...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찾을 수 없었던 이유를 알 수 있었어.쌍곡 평면의 지도에서는 ➊원점을 지나는 지름의 일부 또는 ➋양 끝이 원주와 90°로 만나는 곡선이 직선이야. 직선 바깥의 한 점을 지나는 평행선도 ➊ 또는 ➋에 해당하면서 동시에 원래 직선과 만나지 말아야 해.이런 조건을 미리 알고 있었다고 해도 친구를 ... ...
- 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된 고대인의 게놈을 전부 기계로 찾을 수 없으니 이번에 연구팀이 이용한 게놈은 전체의 일부일 뿐입니다. 악마문 동굴인이 울치족과 같은 민족이며, 한국인의 조상 격이라는 사실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통계적 기법으로 유사도를 찾아냅니다.연구팀은 민족 간 유사도를 알아내기 위해 ... ...
-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생물이 모여살고, 조금의 빈틈만 있으면 금세 새로운 생물들이 그곳에 뿌리를 내리죠. 일부 생물들은 비어 있는 장소에 정착하기보다 이미 다른 생물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빼앗기도 해요.예를 들어 총알고둥은 따개비의 덮개 위쪽에서 누른 뒤, 점액을 분비해 따개비의 덮개를 녹여요. 그리곤 ... ...
- [쇼킹 사이언스] 호수 한가운데 신비한 구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내지요.아폰소가 촬영한 신비로운 구멍은 1955년 이 수력발전소의 일부로 만들어진 배수구 ‘코방 도 콘쇼스’예요. 호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호숫물이 코방도 콘쇼스를 통해 떨어진 뒤, 1.5km의 배수로를 지나 ‘라고아 콤프리다’ 댐으로 흘러 들어간답니다.이런 모양의 ... ...
- [Infographic] 체조부터 발레까지… 춤은 ‘관절’이 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종아리(하퇴)에 있는 두 개의 긴뼈인 정강뼈와 종아리뼈가 결합하는 관절이나, 발에 있는 일부 관절들이 있다. 아래턱뼈와 좌우 관자뼈 사이에 있는 턱관절은 내부에 연골판이 포함돼 있어서 음식을 씹고 갈 때 턱이 양옆으로 움직이고 앞뒤로 나왔다 들어갔다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실험 결과 역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지만 그 동안 회의적이었던 과학자들의 생각을 일부 바꿨다. 최 교수는 “물리법칙을 위배한다는 비판은 ‘닫힌 계’를 어디까지로 설정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볼 수 있다”며 “당장은 어렵겠지만 실제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면 충분히 우주 탐사선에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휘발성이 매우 강한 물질로 분산, 휘발시켜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현재 일부 구간에서 최대 200ppm이 검출되고 있습니다. 소방차 소화포와 제독차량으로 농도를 최대한 낮추는게 급선무입니다. 현재 썰물 때이므로, 해상에 부유한 자일렌의 확산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제외해 결과를 조작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랜싯은 2004년 웨이크필드 박사의 논문에서 일부 내용을 철회했고, 2010년 1월 28일에는 영국일반의학위원회가 2년 반에 걸친 심의 끝에 웨이크필드 박사의 주장은 부정직하고 무책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랜싯은 해당 논문을 영구 철회했다. 해당 논문은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