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맛의 달인, 미식가 허풍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보고 규칙을 찾아 물음표에 들어갈
숫자
를 알아맞혀 보세요. 색이 같은 칸에는 같은
숫자
가 들어갑니다. 퍼즐을 풀면 음식값을 안내셔도 돼요.”★ 요리대회 출전‘선생님도 참. 퍼즐을 풀면 새로운 요리를 준다고 했으면 푸셨을 텐데…. 크크.’과연 요리를 먹을 때와 위기 상황이 아니면 허풍의 ... ...
블록 조각 맞추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보기 그림을 참고해 검은색 조각들을 네모 칸에 올바르게 채우세요. 검은 블록 속의
숫자
는 자신을 제외한 주변 블록 중 검은 블록의 개수입니다. 블록은 회전시킬 수 있지만 뒤집을 수는 없습니다. 이달의 퍼즐 정정합니다. 오른쪽 위 블럭에 있는 '2'를 아래 그림 처럼 '3'으로 바꿔서 풀어 주세요.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10 삼각수 10의 모양은 사실 고대 그리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숫자
1, 2, 3, 4의 합인 10을 매우 신성한 수로 여겼고, 10을 삼각수 형상으로 나타내는 무늬(오른쪽)를 테트라크티스(tetraktys)문양이라 불렀다. 이 문양은 오각형의 별 모양인 펜타그램과 함께 피타고라스학파의 ... ...
수학실력이 경제성장률을 높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이 75%로 65개국 중 1위이고, 한국은 58%로 4위,미국은 32%로 32위다.흔히 수학을 잘하면
숫자
에 밝아 돈을 잘 벌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말을 뒷받침하듯 수학실력이 경제발전에 중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이 65개국 중3 학생들의 수학성적과 국내총생산(GDP)의 관계를 분석한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84개짜리 키보드는 노트북용 키보드의 표준이 됐다. 노트북은 공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숫자
패드를 없애고 자주 쓰지 않는 키는 다른 키와 기능을 합쳐 쓴다. 그 뒤로 윈도 키나 알트 키를 1개로 줄이고 몇몇 키를 덧붙이면서 현재는 노트북용 키보드로 키 83~89개짜리가 많이 쓰인다.태블릿PC와 ... ...
진실 넷! 행운의
숫자
는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없다진실 넷! 행운의
숫자
는 없다! 진실 다섯! 연금복권은 연금이 아니다진실 여섯! 복권으로 실천한 ... ...
진실 다섯! 연금복권은 연금이 아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없다진실 넷! 행운의
숫자
는 없다! 진실 다섯! 연금복권은 연금이 아니다진실 여섯! 복권으로 실천한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테스트하는 문제로 ‘큰 수의 소인수분해’가 있다. 디지털컴퓨터로는 이 문제를 풀 때
숫자
가 커질수록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자릿수에 따라 계산시간이 거의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문제는 암호통신을 하는 데에 이용된다. 아무리 성능 좋은 컴퓨터를 동원하더라도 ... ...
Hackers Use Heat from Fingertips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적외선 기법을 무력화할 수 있다고 했다. 마이클 존은 만일 ATM에 비밀번호 외에 다른
숫자
를 추가로 입력하면 잡음이 추가돼 적외선 기법을 빠져나가기 쉽다고 말한다. 오늘날 보안은 매우 중요한 문제다.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블랙햇 보안 회의에서 컴퓨터 보안 전문가가 ATM을 해킹하는 여러 가지 ... ...
오라! 행복한 수학이 있는 강연장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몇 시입니까?” 이 짧은 질문에 답하기까지 오랜 시간 수학의 힘이 필요했다.
숫자
개념에서 시간과 시계까지 발명하며, 복잡한 수학적인 생각과 기술을 거쳐야 했다. 이처럼 수학은 알지 못하는사이 인류의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수학은 인류의 숨은 영웅인 셈이다.9월 1일 숭실대에서 열린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