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계산 기계’라는 이름의 컴퓨터를 설계했고, 이후 맨체스터대학교로 옮겨 컴퓨터를 설계하거나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그 때쯤 튜링은 생각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드는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10여 년 전 자신이 만든 튜링 기계는 사람과 달랐습니다. 사람은 컴퓨터와 달리 실수를 ... ...
- 세계인이 주목할 런던 올림픽 주경기장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있는 이 경기장을 짓는 데 4년이 걸렸다.경기장 설계는 운동경기장과 대형 컨벤션 센터 설계로 잔뼈가 굵은 다국적 기업 파퓰러스사가 맡았다. 영국 프리미어리그의 유명팀‘아스날’의 홈구장인 에미레이트 경기장과 미국 메이저리그 뉴욕 양키즈의 양키 스타디움도 파퓰러스사의 작품이다. 런던 ...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충고한다. 2042년까지만 죽지 말고 살아 있으라고. 그래서 생명체의 수명과 미래까지도 설계하는 세상에서 살아보자고.영국에서 날짜 감각을 잊은 채 무심코 신문을 펼치다 보면, 일 년에 한 번씩은 심장이 멎을 듯한 기사를 접하게 된다. 바로 만우절 아침의 기사다. 언젠가 모카커피를 올려놓고 ...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구에 이용할 수 없었다. 로스알라모스연구소는 “부서지지 않게 설계한 장비로는 최고 기록”이라고 말했다. 참고로 우주에서 가장 강한 자기장은 중성자별의 일종인 ‘마그네타’라는 별에서 나온다. 무려 10GT(기가테슬라, 1GT=109T)로, 연구소가 만든 자기장보다 1억 배 강하다 ...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막상 어떻게 해야 할 지 막막할 수 있다. 또한 정교하고 반복적인 측정이 가능한 실험 설계를 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과의 차이는 오히려 실험 결과보다 실험 과정에서 여실히 드러난다.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공기와 물에서 빛의 이동 경로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점이다. 공기와 물에 ... ...
- Part 1. 튜링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같은 기존 컴퓨터는 다른 일을 하고 싶으면 하드웨어 전체를 바꿔야 했어요. 하지만 제가 설계한 ACE는 프로그램 내장형 컴퓨터에요. 하드웨어에 손대지 않고도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ACE에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초기 형태도 있었고요.기자 요즘 컴퓨터 같네요.튜링 맞아요. 하지만 제가 ...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탄두보다는 열에 훨씬 취약하다는 점이다.탄도탄은 이런 열을 막기 위해 다양한 외벽을 설계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열을 잘 흡수하는 물질로 탄두 부분을 감싸는 것이다. 베릴륨-구리 합금, 또는 구리-스테인리스스틸 같은 금속이 많이 사용됐다. 이런 방식을 ‘히트싱크’라고 한다. 탄두 무게가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순서가 있잖아. 변신로봇도 로봇에서 자동차, 자동차에서 로봇으로 변신하려면 정교한 설계도가 필요한 거야. 작은 부품 하나라도 방해하면 로봇이나 자동차로 바뀔 수 없거든.실현된다면? 하늘을 날기 위한 변신사람이나 동물을 닮은 로봇은 날기 어려워. 하지만 로봇이 비행기처럼 날개를 펴는 ... ...
- 화학생물공학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학부다. 공업화학, 화학공학 및 생명공학 분야를 공부한다. 전통적인 공정개발 및 설계, 공정 자동화, 유·무기재료(고분자·반도체 재료), 촉매 개발 등 원천기술을 배우고, 실용화 기술에 대한 지식을 얻는다. 경제성, 효율성 개념을 접목해 인류의 복지와 편리한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대한 책이자 요리책인 ‘산가요록’을 보면 ‘겨울철 채소 기르기’라는 부분에 온실 설계법과 온실에서 식물을 기르는 방법이 자세하게 나와 있다고 해.이전까지는 세계 최초의 난방 온실로 1619년 독일의 난로를 이용한 온실이 알려졌어.하지만 조선 온실은 이보다 무려 170년이나 앞서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