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이유다. 이덕환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에서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낸 뒤 서강대 화학과 교수로 부임해 34년간 재직하며 국내 과학커뮤니케이션 분야를 개척했다. ...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그 첫 단계는 올바른 달리기 방법을 처방받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독자 두 명과 8월 8일 서울 노원구 태릉선수촌에 위치한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을 찾았다. 이온 스포츠과학연구실 연구위원이 일행을 반갑게 맞았다. 이 연구위원은 두 명에게 근육과 체지방분포를 알 수 있는 인바디 측정, ... ...
- 프로젝트 밴드 닥터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두 곡 추가로 담았다”고 말했다. 닥터스의 미니앨범 발매 기념 쇼케이스는 9월 6일 서울 마포구 ‘벨로주 홍대’에서 열린다. 안 교사는 지금도 신곡을 구상 중이다. 이번에는 열역학이 주제다. 그는 “열역학 제2법칙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작곡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열역학 제2법칙은 엔트로피 ... ...
- [놀이보고서] 동네가 변하면 더 많이 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환경으로 바꾸면 노는 시간을 늘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우선 연구팀은 서울 동네 4곳의 8~10세 어린이 95명이 일주일 동안 이동한 경로와 그곳에 머문 시간을 GPS 장치로 기록했어요. 그 결과, A동네 학생들은 학원을 적게 다니지 않았는데도 바깥에서 가장 오랫동안 논 것으로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질병과 연관된 유전자를 찾아내는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미국에 오기 전 서정선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장과 함께 한국인의 표준유전체 ‘AK1’을 새롭게 분석했던 것이 많은 도움이 됐다. 분석 결과는 2016년 ‘네이처’에 실렸는데, 당시 네이처로부터 “현존하는 유전체 분석 결과 중 ... ...
- 한국은 왜 반도체 강국이라면서 소재산업은 부실한가과학동아 l2019년 09호
- ‘2018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중 크로스 필드 분야에 선정된 이규태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는 차세대 이차전지로 불리는 소듐(Na) 이온전지 분야의 권위자다. 이 교수는 “현재 이차전지에 주로 사용하는 리튬은 매장량이 한정돼 있어 이를 소듐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이차전지 ...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한번 도전해보시라. 장대익서울대에서 과학사및과학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원 시절 진화생물학에 매료돼 진화이론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사회성의 진화에 관심이 많다. ‘다윈의 식탁’ ‘울트라 소셜’ 등 진화학 분야의 ... ...
- 매스메이커, 수학으로 뚝딱!수학동아 l2019년 09호
- Plan for the Planet: A Business Plan for a Sustainable World도움 김상용(서울 상도초 교사), 남진혁(팹랩서울 매니저), 서창득(이천고 교사), 최석영(감성놀이터 대표),황준식(메이커 코리아 팀장),존 문틴(아르곤국립연구소 분광학자 ... ...
- [수학미술관] 인공지능 화가 '오비어스' 그림은 컴퓨터로, 서명은 수학식으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함수를 이용한 수학 모형을 이용해 점진적으로 조정하고, 마침내 뭉크의 절규 풍 남산서울타워 그림을 그려내는 것이지요.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많은 사람이 실제로 알고리듬을 구현해 실험해 보는가 하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AI 화가에 관심이 뜨겁다는 ... ...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는 8월 7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공동 주최로 열린 ‘일본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 규제에 대한 과학기술계 대응방안 공동 토론회(이하 토론회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