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때 한국도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야 한다. 영화를 초월한 기술이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그날을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무기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떻게 흔들리는지, 넘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연구한 결과를 지난해 6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Achievements in the Life Sciences)에 발표했다(doi:10.1016/j.als.2016.05.009). 한 씨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2015년 민족사관고등학교에 다닐 때 국가대표로 국제물리토너먼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뿐인데…그러나 원자 하나까지 다루는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정밀한 기준이 곧 생명이다. 지난 10여 년간 과학계는 기준이 되는 단위를 더욱 정교하게 바꾸기 위해 노력해왔다. 대표적인 예가 킬로그램이다. 킬로그램은 인공물의 질량으로 정의돼 왔다. 그 역사는 프랑스 대혁명시대까지 거슬러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책임연구원은 “피뿌리풀 추출물을 피부 노화 개선 화장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코오롱생명과학에 기술을 이전하고 피부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세영 교수는 “앞으로는 바르는 화장품에서 먹는 화장품으로 화장품의 개념이 확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령 콜라겐은 바르는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패턴 설치미술의 매력은 어디서 보느냐에 따라, 태양의 위치에 따라,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다른 모습을 띤다는 거예요. 한글이 픽셀처럼 깨져 보이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끊어져 보이기도 하는 등 시각적 유희를 즐길 수 있지요.” 잇는다, 긋는다, 공간에 건다!강 작가에게 선은 매우 ... ...
- [과학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괴물을 만들고 생명을 불어 넣은 프랑켄슈타인 박사를 알고 있나요? 생물이 아닌데도 생물과 비슷한 유전자를 가진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가 발견됐어요.바이러스는 최소한의 유전자만 갖고 있어서 스스로 필요한 단백질을 만들 수 없어요. 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몸속에서 이들의 유전자를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마지막 날이자 새로운 시작”이라며 “카시니가 발견한 타이탄과 엔셀라두스는 지구 밖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완전히 바꿔놨다”고 말했다. 카시니 프로젝트의 담당자인 린다 스필커 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은 “카시니는 사라졌지만 그가 남긴 과학적 성과는 ...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또 다른 ‘생존 무기’는 없을까. 토머스 파크 미국 일리노이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가 서식하는 환경에 주목했다.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땅 속에서 사는데, 보통 300마리 정도가 한 무리를 이룬다. 가뜩이나 산소가 희박한 땅 속에서 300마리가 함께 지내면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생겨난 지구와 같은 행성과 태양계를 다룬다. 그리고 다섯 번째 문턱은 지구에 출현한 첫 생명체인 단세포 생물을 다룬다. 인류는 여섯 번째 문턱을 지나서야 등장한다. 훗날 인류로 진화한 ‘호미닌’이 이야기의 서막을 연다. 일곱 번째 문턱은 집단 학습을 통해 세대를 넘어 정보를 축적하는 ... ...
-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비만과 지방간을 유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황성순 연세대 의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RORα’ 핵수용체가 간에서 일어나는 지방 대사 과정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학계에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