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런 점이 생체시계 발견을 이끈 원동력이었을 것이다. 임정훈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RNA 번역에 의한 유전자 발현, 분자시계 및 루게릭 병의 조절 원리를 연구하고 있다. clim@unist.ac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유전자’라는 은유가 무얼 뜻하는지 짚었다. 유전자, 개체, 집단, 종, 군집, 생태계 등 생명의 여러 수준 가운데 자연 선택에 의해 그 복제 성공도가 최대화되는, 따라서 도킨스가 ‘이기적’이라고 은유한 실체가 유전자라는 뜻이었다. 그런데 왜 선택의 단위가 유전자인지, 혹시 유전자 대신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위해 환경생태공학부, 컴퓨터학과, 바이오의공학과, 심리학과,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생명과학부 등 다양한 전공의 회원들이 팀에 모였다. 뇌파 측정기와 드론을 연결하고, 이 과정을 프로그래밍했다. 지난해 3월부터 시작한 프로젝트는 겨울방학까지 10개월 넘게 이어졌다. 비록 실험에 완벽하게 ... ...
- [과학뉴스] 초음파로 길 찾는 박쥐, 빌딩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같은 인공구조물에서는 그 능력이 통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박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다. 스테판 그레이프 독일 막스플랑크 조류학연구소 연구원팀은 박쥐가 건물의 유리창처럼 매끈하고 수직으로 서 있는 물체는 잘 인식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9월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렇게 화장품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기관 중 하나다. 황윤희 경희대 피부생명공학센터 임상연구팀장이 참가자들의 피부 측정과 체험 뒤 피부 분석을 전담했다. 피부 측정은 최대한 동일한 조건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섭씨 22도의 온도와 습도 50% 조건에서 얼굴을 깨끗이 씻은 뒤 30분이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자신이 어떤 연구 주제에 흥미를 느끼는지 가늠할 수 있다. 오혜린 씨(22)는 지난해 생명과학특강 수업을 통해 자기공명영상(MRI) 등 영상의학이 최근 활발히 연구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또, DGIST 뇌인지과학전공 대학원에서 인턴십을 하며 세포내의 대사물질과 대사회로를 연구하는 대사체학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도만능줄기세포, 의과학에서 핫한 이유? 앞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장점이 생명윤리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점이라고 했는데요. 또 하나의 큰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유전물질이 역분화 이전 체세포의 유전물질과 같다는 것입니다. 왜 이런 특징이 중요할까요? 질병 중에는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 책의 제목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단어는(‘이기적’이 아니라) ‘유전자’다.”(8쪽) 생명을 이루는 실체에는 유전자, 개체, 집단, 종, 생태계 등이 있다. 어느 실체에 자연선택이 작용하든지, 장구한 세월에 걸쳐 자연선택이라는 체를 통과해 오늘날 지구상에 흔한 존재가 된 실체는 어떤 특성을 ... ...
- [과학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괴물을 만들고 생명을 불어 넣은 프랑켄슈타인 박사를 알고 있나요? 생물이 아닌데도 생물과 비슷한 유전자를 가진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가 발견됐어요.바이러스는 최소한의 유전자만 갖고 있어서 스스로 필요한 단백질을 만들 수 없어요. 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몸속에서 이들의 유전자를 ... ...
-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비만과 지방간을 유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황성순 연세대 의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RORα’ 핵수용체가 간에서 일어나는 지방 대사 과정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학계에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