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족점"(으)로 총 2,1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선시대 서민이 원기둥을 쓰지 못한 까닭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초등학교 학생에게 자기집을 그려보라면 아마 절반 이상은 아파트를 그릴 것이다. 전체적으로 네모난 모양이지만 각 집에 나있는 문과 창문도 사각형이고 각 방의 바닥도 사각형이다. 건축은 자연을 모방한 것이고 자연에는 수많은 형태가 있는데 왜 하필이면 사각형을 사용했을까. 주변 건축물의 ...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최근 세계축구무대에서 유행하는 4-4-2나 3-5-2는 무엇인가. 우리축구수준은 월드컵의세계수준에 객관적으로 비교하면 어떨까. 우리수준과 세계수준을 제대로 알고 본선에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2001년 12월 1일 저녁 부산에 전세계인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바로 2002년 한일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기 때 ...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최근 인터넷과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의 정보를 빈번하게 주고받으면서 정보 유출에 대한 걱정이 늘었다. 하지만 정보를 보호라는 든든한 첨병 암호가 있다. 첨단암호를 구현하는 첨단학문 세계로 가보자.갑자기 1백만원이 급히 필요하다고 시골에 계신 아버지로부터 전화가 왔다. 사무실에서 야근 ...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봄부터 가을까지 온 산과 들을 가득 메우고 있던 꽃과 나무도 볼 수 없고, 동물을 구경하러 야외로 나가는 것도 여의치 않다. 까만 하늘에서 축복처럼 떨어지는 별똥별을 보고 싶지만 높은 산자락에 쌓인 눈을 보면 그도 어려울 것 같다.겨울은 과학과 별로 인연이 없는 계절일까. 하지만 겨울이라고 ... ...
- 메이슨 과학의 역사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또다시 입시철이다. 흔히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입시철을 포함하여 오계의 나라임에 틀림없다. 얼마 전 수능시험이 소란 속에서 끝났고, 조금 있으면 논술이니 심층면접이니 하여 또다시 진통을 겪게 될 것이다. 이번 호에서는 20세기를 대표하는 과학고전에 포함 ... ...
- 제4회 컴퓨터창의성대회 시상식 거행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각종 경시대회가 활발히 열리는 요즘. 대개의 학생에게는 경시대회의 벽이 너무 높다.그러나 친구 3명이 모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대회가 있다. 어떤 대회일까."전문가들은 멀지 않은 미래에 학교 교육의 상당 부분이 가상공간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 이런 상황이 도래하면 학생들의 인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양자역학을 도입해 화학결합을 제대로 설명해낸 폴링의 1954년 수상은 현대화학의 초석을 닦았다는 평가와 함께 베스트1로 손꼽을 수 있다. 반면 사료보관방법을 발견한 1945년 수상자 핀란드의 비르타넨은 업적 자체도 미흡하지만 정치적 편견도 깔려있다. 역대 노벨화학상 베스트3과 워스트3을 살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20세기, 아니 역대 최고의 물리학자 아인슈타인. 1921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할 때 수상 업적에서 상대론이 제외됐어도, 아인슈타인은 역시 최고의 수상자로 뽑혔다. 반면 최악의 수상자는 1912년 달렌. 그가 발명한 등대불 자동점멸장치는 지금 보면‘고물’이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역대 노벨물리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광학이성질체는 오른손과 왼손처럼 똑같은 입체구조를 갖지만 겹칠 수 없는 물질로, 교과서에는 거울상 이성질체(광학이성질체), 학계에서는 키랄 물질이라고 부른다. 광학이성질체는 구성 원자, 결합 순서, 그리고 결합 방법이 같기 때문에 쉽게 분리하기 어렵다. 2001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3명의 ... ...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과학동아 l2001년 11호
- 한의학과 서양의학. 수백년 동안 서로 다른 길을 걸어온 두 의학이 서로 손을 잡았다.인류 최대 난치병 중 하나인 암을 정복하기 위해서다. 한∙양방 병용치료가 어떤 원리로 이뤄지고 있는지 알아보자.부정거사(扶正祛邪). 한의학으로 암을 치료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 무슨 뜻일까. 바른 것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