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기술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30개국의 참가자들이 800편의 논문을
발
표해 학술 교류도 활
발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의 만프레드 모라리 교수 등 로봇공학계 석학의 초청강연도 열린다. ... ...
탄탄한 기초가 가져온 빛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 시점에 나노포토닉스라는 새로운 분야의 세계적인 흐름과 맞물렸다. 기초 연구로 개
발
하던 푸리에 모달 방법이 곧바로 광자결정과 플라즈모닉스의 모델링과 해석에 적용됐다. 이를 통해 나노포토닉스의 영역으로 빨리 진입했고 연구실의 초기 성과를 내는 데도 기여할 수 있었다.변화의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날씨가 될 수 있다.물론 기후나 날씨와 연관된 변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태풍이 적게
발
생한 것만으로 추운 겨울을 예상하긴 어렵다. 하지만 다양한 관측결과나 올해의 기상 변화를 고려하면 추운 겨울을 대비해야 한다는 예상을 충분히 할 수 있다.수학Q1. [정교성, 독창성] 삼각형 ABC를 다음 세 ... ...
체조에 만점이 없는 수학적 이유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꿈인 10점 만점 연기를 언제 다시 볼 수 있을까? 세계체조연맹은10점 만점 점수제로는
발
전하는 선수들의 기술을 평가하기 어렵다고 생각해 2006년부터 새로운 채점 규정을 만들었다. 어려운 기술의 정도를 평가하는 난도(D) 점수와 완성도를 채점하는 실시(E) 점수를더해 최종 점수를 계산하는 ...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에코 투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살폈다. 기자가 괜히 카메라를 만지작거리며 딴전을 부리니 마음이 놓였는지 슬금슬금
발
앞까지 다가왔다. 청설모는 밤톨을 집어 들기가 무섭게 오도독 긁어서 오물오물 씹어 먹었다. 주변을 둘러보니 식사 중인 ‘테이블’이 수십 개다.좀 더 노련한 녀석들도 있다. 아메리카너구리(Procyon lotor )는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더 빠르게, 더 높게, 더 멀리! 오늘날 스포츠 선수들은 첨단과학으로 만든 유니폼을 입고 자기 능력 이상의 기록에 도전한다. 상어를 닮아 물속 ... 기능과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스포츠정신에 비출 때 어느 수준까지
발
전을 허용해야 할지는 여전히 즐거운 숙제로 남아 있다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그림자는 생기지 않을 거예요.셋째빛은 아주 작은 *알갱이로 되어 있어요!만유인력을
발
견한 영국의 유명한 과학자 뉴턴은 1704년에 빛은 아주 작은 알갱이로 되어 있다는 ‘입자설’을 주장했어요. 뉴턴은 ‘빛이란 아주 작은 알갱이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이러한 ... ...
야구는 통계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더구나 주자는 1루에 붙어 있지 않고 2루 쪽으로 몇 걸음 다가서 있다. 이 차이 때문에
발
이 빠른 주자의 도루성공률은 70%를 훌쩍 넘는다.*4사구 : 볼넷과 몸에 맞는 공을 합쳐 부르는 야구용어*평균자책점은 방어율이라고도 쓰이는데, 수학적으로 비율은 1을 넘을 수 없으므로 잘못 쓰는 표현이다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 3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잃어버린 그림자를 찾을 수가 없다나? 웬디가 피터팬이 잃어버린 그림자를 찾아
발
에 꿰매 준 것처럼, 눈이 좋은 우리가 자신들의 그림자를 찾아줄 거라고 믿고 있었어. 그런데…, 으악! 이 많은 그림자의 주인을 언제 다 찾아 주지?과학상식 가장 깊은 바다는 어디일까?심해는 보통 100∼200m 이상 깊은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D데이터 얻으려고 2박 3일간 촬영백제금동대향로는 1993년 충남 부여읍 능산리 유적터에서
발
견됐다. 7세기 초에 제작한 것으로 알려진 이 향로는 문화재등록명칭이 부여능산리출토백제금동향로(夫餘陵山里出土百濟金銅香爐)로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百濟金銅龍鳳蓬萊山香爐)라고도 한다. 글자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