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슈퍼 화산’ 옐로스톤 탄생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지질학자들은 오랫동안 옐로스톤 화산이 1600만 년 전 거대한 암석 덩어리가 맨틀 밖으로 솟아올라 만들어졌다고 추정해왔다. 이에 대해 미국 일리노이대 린주 리우 교수팀은 맨틀에서 암석이 한 번에 올라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연구결과를 ‘지구물리학 연구서’ 2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끌며 오래 고민을 한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우리의 수준은 광속 한계에 붙잡혀 있을 수밖에 없다. 빛보다 빠른 것은 없고, 그 빛의 속도에 한계가 있는 이상, 절대로 우주에서 우리보다 더 크고 효율적인 정신은 생겨 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우리가 오래 살려고 발버둥쳐 봐야 우주가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있게 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블랙홀의 경우 지금까지 그 외부(빛이 탈출할 수 있는 범위 밖)만을 간접적으로 관찰했다면, 이제는 전자기파로는 전혀 알 수 없는 질량이나 자전 여부까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김정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은 “빛으로는 10년 정도 간접적인 관측을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측정해 작년 6월에 발표한 문건이다. 실제로 보고서도 레이더 안전 거리인 100m 밖에서는 아무런 건강 안전상의 문제가 예측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 레이더가 지표면과 이루는 각도를 5°로 최대한 낮춰도 그렇다는 뜻이다.그러나 이 보고서의 결론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괌에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김 바둑은 19×19픽셀에 검은 돌, 흰 돌, 또는 아무것도 놓이지 않는 세 가지 경우의 수밖에 없다. 컴퓨터 비전이 분석하는 일반적인 사진보다는 입력 정보가 확실히 적을 것이다. 때문에 그만큼 많은 계산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다.준 프로 바둑기사이자,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김찬우 6단은 알파고가 ... ...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버리게 되는 거지. 계속 걷다 보면 위가 어디였고, 아래가 어디였는지 헷갈리게 돼. 안과 밖도 구분이 안 돼. 결국 공간에 갇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거야.”박쥐처럼 거꾸로 매달려 있는 사람은 콧수염과 턱수염이 길어질 대로 길어져 얼굴의 반을 감싸고 있었다. 눈이 나쁜지 두꺼운 코안경을 ... ...
- [1학급 1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가 30개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찾아와 책을 빌려가기도 했다. 심소연 선생님은 “도서관에는 과학동아가 한 권 밖에 없기 때문에 우리 반에 별도로 비치된 과학동아가 이과반 학생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았다”고 말했다. 성산고의 경우 많은 학생들이 이공계 진로와 관련된 내용에서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서울공대카페’와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식사를 한다는 것. 시간을 자율적으로 사용해 연구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그밖에도 아이가 아프거나 부모님이 편찮으실 때 병가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복지 제도가 탄탄하게 마련돼 있다. 이 역시 연구 효율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자동차를 여러 대 배치하고, 조건에 따라 자동차를 움직여 빨간색 주인공 차를 게임판 밖으로 빼내는 게임이다. 학생들은 가로, 세로 3칸부터 6칸까지 주인공 차를 빼내지 못하게 자동차를 놓는 경우를 따졌다. 6칸일 때는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다 알아내지는 못했지만, 5개까지는 모두 알아냈다 ... ...
- [과학뉴스] 작은 카멜레온의 강한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스피노서스’가 가장 빠른 속도로 혀를 뻗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몸의 크기가 47mm밖에 되지 않는 이 카멜레온은 최대 19km/h의 빠른 속도로 혀를 내밀 수 있었어요. 이는 파리가 날아가는 속도의 두 배가 넘는 빠르기랍니다.안데르손 박사는 “카멜레온은 작은 몸집에 비해 먹이를 많이 먹어야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