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해"(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그리고 이 물질에 ‘암흑물질’이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아직까지 암흑물질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거의 없어요. 우주 전체의 27%를 이루고 있을 만큼 거대한 양이지만, 이 물질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죠. 1년 전,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이 우리은하에 있는 10억 개의 별을 탐사하던 중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의 아름다움을 아이들과 나눈 니콜 스탓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일하고 있으면서도, 우주라는 무한한 가능성이 얼마나 많은 곳에서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앞으로 어떤 사람들과 어떤 곳에서 우주를 함께 할 수 있을까.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 친구이자 선배, 니콜에게 이 기회를 통해 고마움을 전한다 ... ...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다양함’ 가득한 스탠퍼드대에 끌리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쓰면서 내가 다른 사람들과 다른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했고, 덕분에 스스로에 대해 많이 깨닫는 시간이기도 했다. 서류를 모두 제출하고 난 어느 날, 달리는 차 안에서 메일함을 열었다. 그 순간, 온몸이 굳기 시작했다. 메일 제목은 ‘스탠퍼드대 지원 결과 발표’! 옆에서 운전 중이었던 엄마에게는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성적만 들고 임페리얼칼리지(ICL)에 지원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e메일을 받은 어느 1월 저녁, 임페리얼칼리지에는 합격했다. 그제야 임페리얼칼리지에 대해 더 알아볼 마음이 생겼다. 공부해야 할 양이 끔찍하게 많다는 소문과, 그를 입증하는 낮은 학생 만족도, 그리고 많은 학생들이 성적을 유지하지 못해 퇴학당한다는 이야기까지. 그런데 이런 소문은 오히려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개념이라고 말했다. 또한 “특정한 하나의 삼각형이 아닌 모든 직각삼각형에 대해 성립한다는 것에서 수학이 보편타당한 지식을 다룬다는 사실이 드러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순히 기하의 성질을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증명’이라는 수학의 핵심 아이디어에 다가갈 수 있게 할 ... ...
- [이투스 입시정보] 수학과, 이 세상 모든 과학적 발견의 시작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사고로 해결할 수 있는 유능한 인력을 키웁니다.또한 수학적 창의성과 사고능력에 대해 공부합니다. * 이투스 이달의 학과 : 수학과 > 바로가기 - 서울대 수리과학부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수학과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수학과 > 자세히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대학은 ‘진로 탐색’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진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희망하는 진로를 위해 노력한 학생들이 대학에 와서 우수한 결과를 낼 것이라 기대하는 ... 내가 관심있는 분야부터 자세히 들여다보고 알아보다 보면 나에 대해서도, 변화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게 될 것이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서식지 환경 특성 분석을 통한 복원방안 연구’란 보고서를 제출했답니다. Q 출품작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려줄 수 있나요? 먼저, 제가 사는 전라북도 익산시 지역 어디에 수원청개구리가 살고 있는지 관찰한 자료를 정리했어요. 수원청개구리가 발견된 20곳을 정하고, 해마다 같은 곳을 찾아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과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초록색 버튼 (↑, 직진) 2번을 누른 다음 보라색 버튼을 눌러 출발시키면 돼요. 코딩에 대해 잘 몰라도 괜찮아요. 입력을 의미하는 빨간색 ‘c’ 버튼과 출력을 뜻하는 보라색 ‘Go’ 버튼을 순서대로 누르면 노래에 맞춰 뚜뚜가 자유롭게 움직여요. 이 기능을 사용하면 방향 코딩을 잘 모르는 어린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를 받아 적어 이라는 책을 냈다. 이로 인해 유럽 사람들은 아시아에 대해 호기심을 키우게 된다. 대항해시대, 해상 실크로드 개척! | 중국에서 나침반을, 이슬람에서 별을 관측하는 기구 아스트롤라베를 들여온 유럽에서는 항해술이 발달했다. 1492년, 이탈리아 탐험가 콜럼버스가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