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등급
과정
경로
등위
서열
스텝
d라이브러리
"
단계
"(으)로 총 4,809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위해성을 함께 연구해야만 한다. 그러나 나노와 관련된 위험성 연구는 이제야 걸음마
단계
다. 초미세크기의 나노물질을 환경이나 생물체 안에서 측정하는 기술조차 아직 확립돼 있지 않다. 진정한 나노강국은 나노제품이 많은 나라가 아니라 나노안전성 기술이 강한 나라다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수 있는 초고밀도, 초고온 상태를 만들기 위해 1차로 다른 기폭 장치를 작동시키는 2
단계
폭발 방식을 취한다. 수소폭탄은 기폭 장치가 원자폭탄이고, 간접 레이저 핵융합에서는 레이저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두 번째 방식은 직접 방식으로 일본 등 핵무기를 개발할 수 없는 나라와 미국 뉴욕의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어려운 생물도 많다. 일반적으로 포유류는 수컷이 더 크지만 포유류를 세부 분류해 한
단계
아래로 내려가면 토끼목처럼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박쥐는 종에 따라 수컷이 더 큰 경우와 암컷이 더 큰 경우가 섞여서 나타난다. 또 수컷과 암컷의 크기 차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아직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지나면 독성이 석탄 화력발전소보다 떨어진다.무한청정에너지를 향한 꿈 - 핵융합의 3
단계
핵융합은 원전에 비하면 엄청나게 폐기물이 적지만,100% 청정한 에너지라고는 할 수는 없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깨끗한 에너지를 만들 수는 없을까. 답 은 미래형 핵융합이다. 핵융합은 크게 3세대의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질문에는 남모를 고생을 털어놨다. “중압감이 컸죠. 토카막형 핵융합 장치는 각각의
단계
마다 조립공정이 지나고 나면 다시 돌이킬 수가 없어요. 매 순간이 판단과 결정의 연속이었어요. 더구나 세계에서 거의 처음으로 진행하는 조립공정이다 보니 참고할 자료도 없었어요.”한국을 변방에서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와해된 언어’입니다. ‘없는 것을 있다고 하는’ 환각증상은 병이 이미 만개한
단계
입니다. 마지막까지 와버린 거죠. 잘 안 씻는 습관이나 불안정한 감정상태 역시 많은 환자들이 보여주는 모습입니다.” 그녀가 지긋이 눈을 감았다.“한 가지 더 안타까운 점은…, 남편 분의 병이 이미 오래 전에 ... ...
[과학뉴스] ‘다
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로켓(PSLV-C11)과 이번에 쓴 로켓(PSLV-C25) 모두 여기서부터 발전한 모델이다. PSLV는 모두 4
단계
의 고체·액체 연료 추진 시스템으로 이뤄져 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큰 1
단계
고체 추진체(139t)를 갖고 있다. 1993년 첫 발사를 실패한 이후 모든 시도가 성공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지금까지 총 71개의 위성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차세대 원전과 장수명 핵종 제거기술(제염기술)은 모두 현재 연구
단계
다. 차세대 원전은 액체금속을 냉각재로 쓰는 납냉각고속로와 나트륨(소듐)냉각고속로 등이 연구되고 있지만 둘 다 아직 수십 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 더구나 이들만으로는 장수명 핵종을 완전히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교수는 “간암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표지 단백질(바이오마커)을 발견해 상용화
단계
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간암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유전자와 단백질을 활용했지만 정확도가 떨어지고 간염, 간경화 등과도 구분이 안 됐다. 백 교수팀이 발견한 표지 단백질은 간암 환자에게만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었다. 혼자서 정보를 처리하는 격자세포 모세르 부부는 오키프 교수의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장소세포의 정보처리를 돕는 ‘격자세포’를 발견한 것이다. 과학자들은 1990년대까지 위치 정보처리는 해마에서만 이뤄진다고 생각했다. 모세르 부부는 해마가 아닌 다른 곳에도 길 찾기에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