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바닷속에서도 착! 하이드로겔 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이용해 바닷물 속에서도 고체에 달라붙을 수 있는 하이드로겔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2일자에 밝혔다. 연구팀은 양전하를 띠는 물질과 방향족 고리로 구성된 고분자 사슬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사슬이 바닷물과 이온 농도가 같은 0.7M(몰) 소금물에서 ... ...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테라헤르츠파를 생성해 더 많은 물질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11월 15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126/science.aay868 ... ...
[과학뉴스]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구조를 갖게 됐을까’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7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038/s41467-019-13026-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프로젝트가 2016년 시작됐고, 마침내 올해 6월부터 남극에서 빙하코어 시추를 시작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올해 가장 주목해야 할 뉴스 중 하나로 이 프로젝트를 꼽기도 했다.시추는 2025년 5월까지 6년간 계속될 예정이다. 허 책임연구원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죽은 지 약 4시간이 지난 돼지의 뇌 신경세포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4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된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돼지의 뇌세포에 특수 용액을 주입하자 뇌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뇌세포에서는 6시간 동안 활성 신호가 포착됐습니다. 비록 고차원적인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유해물질로 등록돼 있다. 특히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IARC)가 2B등급 발암물질로도 지정했다. 유 책임연구원은 “PVC를 소각할 때에도 환경호르몬인 다이옥신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이런 이유로 그동안 여러 국가가 PVC 포장재 사용을 규제하는 조항을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한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센 교수는 이런 신호 차단 장치를 만들어 올해 3월 11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8-38303-x 드론┃특정 주파수로 정보 교란 통신 기술만 해킹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김 교수는 “해킹이 통신을 이용해 공격하는 것만 ... ...
[수학뉴스] 세포 사이의 대화 수학으로 엿듣는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않았다면 세포의 의사소통 방법을 규명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10월 14일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비행기 연착, 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승무원 일정 짜기 문제’는 많은 항공사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어려운 수학 문제입니다. 복잡한 비행기 노선에 승무원을 효율적으로 ... 연착과 승무원들의 피로가 감소하는 등 확실한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교통 과학’ 9월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우리나라에서도
국제
사회와 협력하며 소행성 위협에 대비하는 곳이 있어요. 바로 우주위험감시센터라는 곳이랍니다. 우리나라방위대, ‘우주위험감시센터’ “소행성이 10LD*보다 가까이 오면 빨간불이 떠요.”5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 만난 김명진 연구원이 말했어요.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