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는 3차원 공간에 희귀동위원소 빔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는 장치인 빔조사장치(BIS)가 쓰인다. 부작용 줄인 암 치료방사성동위원소가 치료에 활용된 역사는 꽤 길다. 일본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NIRS)가 처음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유체의 힘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마치 바짝 마른 스펀지에 물을 부으면 스펀지에 빈 공간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가 움직이며 모양이 변하는 것처럼 말이다. 어떤 물질에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에너지나 질량은 보존된다. 예를 들어 커피 100이 다른 형태로 변해도 커피는 어떤 형태로든 100만큼 ... ...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마틴 데메인은 ‘MIT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기하학 연구를 할 때 저는 머릿속에 3차원 공간이 저절로 그려진다”며, “미술을 다루니까 개념을 시각화하는게 훨씬 쉽다”고 수학이 예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예술도 수학을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어요. 그러니 배경지식이 다르다고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한캐드로 물체를 설계하다 보면 다양한 입체도형과 좌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공간지각능력이 자연스럽게 키워지는 건 덤이다. 디자인에서 코딩까지 한 번에!한캐드로 디자인한 물체를 3D프린터로 출력하려면 먼저 ‘파일메뉴’를 눌러 ‘STL로 출력’을 선택해 STL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절대 공간’이라고 불렀어요. 반면 라이프니츠는 공간이 사물들의 관계일 뿐이라 공간만 홀로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고요. 이런 주장은 나중에 상대성이론을 낳는 계기가 됐답니다. 천사가 화살을 쏘는 생각에서부터 상대성 이론까지. 생각의 힘은 정말 대단하죠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피젯 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루는 입자들을 지구 자기장이 붙잡아 지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해 주거든요. 이 공간을 ‘밴앨런대’라고 해요. 이 덕분에 지구의 대기와 오존층이 있고,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거랍니다. 그렇다면 지구의 자기장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요? 아직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과학자들은 ... ...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충분히 데이터가 쌓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돌아다닐 수 있는 빈 공간과 장애물이 있는 공간을 구분해 가상의 지도를 만들어 낸답니다. 이 로봇은 지난 2016년 더 넓은 지역의 지도를 만들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되는 등 계속 연구되고 있어요. 조만간 붕괴 현장에서 바퀴벌레 로봇을 볼 수 있겠지요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대한 고려가 충분하지 않았음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지열발전소뿐 아니라 대규모 지하공간 활용을 위한 사업을 진행할 때는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지질재해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김광희_kwanghee@pusan.ac.kr미국 멤피스대에서 지질학/지구물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대만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중 세계 최대 규모로 건설된다. 부지의 면적은 95만2066m2로 축구장 130개의 면적과 같다. 이 공간에 지하 2층, 지상 3층 규모로 라온의 연구시설이 들어선다. 정 단장은 “가속기의 규모가 클수록 높은 에너지의 입자를 얻기에 유리하다”며 “라온 구축 현장을 방문한 해외 연구자들도 생각보다 큰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양성자와 충돌한 탄소 원자의 일부가 자리를 이탈하면서 빈자리(격자 결함)가 생기고, 이 공간이 빛의 일부 파장을 흡수한다. 특히 빨간색 파장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초록색이나 파란색으로 보이게 된다. 반도체 안정성을 확인하는 데에도 양성자가속기가 요긴하게 쓰인다. 현재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