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긱블X과학동아] 마술 마이크스탠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앱)으로 실행할 수 있죠.마이크스탠드의 얇은 쇠기둥에 이 기능을 모두 넣을 수 있었던 건 모터와 기어를 오밀조밀 전략적으로 배치한 덕분입니다. 찬스 님은 두 종류의 모터, 직류(DC) 모터와 서보 모터를 사용했습니다. 직류 모터는 우리가 흔히 아는 모터입니다. 전기가 공급되면 계속 회전운동을 ... ...
- [특집] 각 분야 최고의 수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중요한 출발점이자, 모든 수 체계의 기본이 되는 숫자라고 생각해요. 1, 2, 3, 4는 어떤 물건을 세기 위해 자연적으로 생겨났다면, 0은 엄청난 혁신이죠.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만들어냈기 때문이에요. 빛의 속도는 우주 그 어느 것보다 빠르죠. 김범준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빛의 ... ...
- 나만의 기네스북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디즈니 만화에 나오는 머리카락이긴 주인공 말이야. ‘라푼젤’이란 별명이 붙은 건내가 아주 긴 머리카락을 갖고 있기 때문이야. 나는 6살 때부터 머리카락을 길러왔어. 미용실에서 머리를 엉망으로 자르고 나서 다시는 머리를 자르지 않겠다고 마음먹었지. 덕분에 나는 2018년 머리카락 길이 17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3화. 수학자의 새해 다짐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이룰 수 없는 목표를 새해 다짐으로 정했던 걸 보면 우리의 새해 계획이 지켜지지 않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는 자기 합리화를 하게 됩니다. 제 주위 여러 수학자에게 2021년 수학과 관련한 새해 다짐을 물어봤습니다.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새로운 연구를 하거나 새로운 ...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것이 계기가 되어 더욱더 열심히 탐사를 했거든요. Q탐사 실력이 늘었다는 건 무슨 의미인가요?지구사랑탐사대의 연구자들과 탐사하며 과학적으로 탐사하고 연구하는 법을 배웠어요. 연구 방법과 과정을 먼저 정해야 하는 것도요. 또, 지사탐 현장교육과 심화교육을 통해 생물에 대해 배운 ... ...
- [과학뉴스] 브레이크댄스 추는 문어 로봇은 처음이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걷고, 구르고, 심지어 브레이크댄스도 추는 로봇이 개발됐다. 특이한 건 이 로봇의 90%가 물로 구성된 소프트 로봇이라는 점이다. 소프트 로봇은 단단한 소재로 만들었던 기존 로봇과 달리,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 변형이 자유롭다. 사무엘 스툽 미국 노스웨스턴대 화학과 교수팀은 ...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독자분들께서 연구원이나 혹은 다른 활동을 하더라도 그 분야에서 ‘잘’ 하는 건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입니다. 독자분들께서 꿈을 꿀 때(꼭 연구원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쉽고 어려운지에 따라 꿈을 결정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진정 독자분들의 가슴을 뛰게 하는 활동에 도전하고, 포기하지 ...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부작용이 더 크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돼 있다. 미국 소아과학회는 2018년 ‘건강한 아이로 키우기 위한 효과적인 훈육’이라는 훈육지침의 개정안을 내놨다. 이 안에는 체벌로 인한 뇌 이상, 행동 이상에 대한 다수의 연구결과들이 포함돼 있다.우리나라도 ‘자녀 징계’에 대해 62년간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파짓! 파짓!’ 정전기로 번개를 만들어 보자!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번개처럼 번쩍번쩍 빛이 나도록 강하게 만들 수는 없을까요. 생활 속 정전기가 약한 건 번개보다 전하량(입자가 띠는 전기의 양)이 적기 때문입니다. 그럼 전하량만 높이면 번개처럼 될 것 같기도 한데요. 그래서 한 번 해봤습니다. 우선 알루미늄 포일과 플라스틱 컵 세 개를 활용해 간단한 축전기를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잡아주는 개미수열의 화음이 들리더군요. 수학을 적용한 음악이라 더 감미롭게 들리는 건 제가 수학동아 기자여서 그런 걸까요? 음알못에겐 무척 신기한 경험이었는데요, 과학×음악 콘서트는 1월 4일 유튜브 채널 ‘유못쇼’에 공개됩니다. 여러분에겐 어떻게 들릴지 궁금하네요.과학×음악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