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d라이브러리
"
스스로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1
7㎜에 불과해 많은 빛을 받아들일 수 없거든요. 따라서 갈릴레이가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스스로
망원경을 만든 것은 천문학자로서 당연한 일이지요. 오늘날 망원경은 천문학자에게 없어서는 안 될‘눈’이에요. 그리고 천문학자들은 언제나‘더 큰 눈’을 바라고 있지요. 도대체 더 큰 눈을 가지면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01
엄밀히 말하면 비타민이 아니라 호르몬비타민이란 ‘우리 몸에 꼭 필요하지만
스스로
만들 수 없어 음식물로 섭취해야 하는 생리활성물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비타민D 역시 처음 발견된 때는 그렇게 생각했지만 그 뒤 우리 몸에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온 몸을 덮고 있는 인체 ... ...
이과 지망생이 고려할만한 고등학교는?
과학동아
l
200901
받는 학생이라면 일반계 고등학교로 진학할 것을 권합니다. 어느 고등학교를 진학하든지
스스로
공부할 마음과 뚜렷한 목표가 서지 않는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자사고나 외국어고를 선택했을 때 갖는 장점이 추후 자신이 설계할 진로와 어떻게 연결될지를 고려하기 바랍니다. 첨단 ... ...
탐구력 갖춘 과학인재 양성의 샛별
과학동아
l
200901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강의 내용을 사전예고한다. 학생들은 모든 강좌를
스스로
선택해 수강할 수 있다. 방학 중에는 KAIST, 포스텍, 서울대 등 대학별 면접 대비반이 운영된다. 외국 유학 준비생과 어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SAT, TEPS, TOEFL 강좌도 학생들의 실력 향상에 한 몫 하고 있다 ... ...
‘어린이과학동아’의 힘! 열혈독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2
그런데 그런 답 중에 틀린 게 굉장히 많아요. 인터넷의 잘못된 정보에 현혹되지 말고
스스로
풉시다!남매는 열혈독자였다~!창간호부터‘어린이과학동아’를 읽은 감상을 말해 주세요.현지 : 과학을 잘 하게 돼 정말 좋아요. 학교 대표로 올림피아드에 나갔을 때도 어린이과학동아가 도움이 됐어요 ... ...
듣지 못해도 말할수있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0
사람은 말을 할 때 자신이 낸 소리를 들으면서 발음을 교정합니다. 그래서 흔히 듣지 못하면 말을 배울 수 없다고 알려져 있지요. 그런데 최근 소리뿐만 아니라 얼굴 근 ... 당기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스스로
는 의식하지 못했지만 발음을 방해하는 작용을 느껴
스스로
교정한 것이랍니다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8
차선 한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으로 밝은 LED를 설치해 자동차 앞에 설치된 센서가
스스로
빛을 읽으며 나아가게 한다. 차선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도로 정보도 LED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LED가 깜빡이는 속도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교통정보센터를 거치지 않고 도로와 ... ...
스트레스 NO! 즐겁게 등교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7
스트레스도 있다구. 이런 외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완벽하게 일을 해야만 한다거나
스스로
못났다고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내적인 요인도 스트레스의 원인이야.나이도 어린 게 무슨 스트레스냐고 하면 모르시는 말씀! 누리 말대로 개학하면서 짜증이 늘고 우울하지 않아? 밀린 방학숙제를 해야 하는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7
연구하고 있어. 만약 추위나 낮은 습도, 강한 자외선 등의 극한 외부환경으로부터
스스로
를 보호하는 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이 비결이라면 그 물질을 이용해 우리에게 유용한 물건을 만들거나 산업에 응용할 수 있거든. 아무리 추워도 괜찮아아무리 차가운 곳이라도 미생물이 존재한다. 심지어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4
우리나라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할 가능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천적이 줄었어요~! - 쥐쥐는
스스로
, 혹은 쥐에 붙어사는 벼룩 등을 통해 전염병을 퍼뜨린다. 쥐가 퍼뜨리는 전염병으로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흑사병이다. 14세기 중세 유럽을 덮친 흑사병은 인구의 약 3분의 1을 죽이기도 했다. 중세 이후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