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
수학동아
l
201008
더하거나 땅밑을 보강하는 방법 등을 추천받았지만, 최종 선택한 의견은 기울어진
반대
편의 흙을 파내는 방법이야. 그 결과 현재 피사의 사탑은 기울기를 멈추고, 수직에서 3.9m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첨성대가 기운다!배재대학교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첨성대가 북쪽으로 7.2cm, 동쪽으로 2.4cm ... ...
입체도형 종합선물세트
수학동아
l
201008
있는지 쌓기나무의 개수를 세어 봅니다. 그리고 다음에 주어진 활동을 합니다. 그러면
반대
경우를 미리 생각해 보았기 때문에 쉽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쌓기나무의 수를 하나씩 늘려가면서 어떤 모양이 될지 생각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중학교 수학 1학년 비유와 상징 253쪽 중학교 1학년이 ...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수학동아
l
201008
불며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은 중심을 향해 직선으로 불지만 실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온다. 지구가 자전하며 생기는 힘인 전향력 때문이다. 따라서 태풍의 모양은 바람개비가 도는 모양과 비슷한 나선모양이 된다. 한편 한가운데 동그란 구멍은 태풍의 눈이다. 태풍의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08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센서는 무겁고 정교해 충격을 많이 받는 축구공에 맞지 않다.
반대
로 축구공에 쓸 수 있을 정도로 작고 가벼운 센서로는 정밀한 측정이 어렵다. 필요에 따라 장소를 옮길 수 있는 호크아이 시스템과 달리 경기장마다 지하에 전선을 깔아야 한다는 점도 부담스럽다.장점 영상으로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08
셈이다. 사실 보행이 완전히 좌측으로 통일된 것도 아니었다. 회전문의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기 때문에 그 앞에서는 우측보행으로 바꿔야했고 공항의 자동문도 우측보행 기준이었다. 에스컬레이터 역시 건물에 따라 우측보행과 좌측보행이 뒤섞여 있었다.‘그랬었나? 난 몰랐는데….’이런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08
기술이었다.정 교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에 들어가 매달리는 사람도 있지만, 난
반대
”라며 “막판까지 미뤄놓다가 마지막에 멋진 아이디어를 내놓은 셈”이라고 말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을 때도 그랬다. 그는 프로젝트 발표 3일을 남겨놓고 떠오른 아이디어로 ... ...
“평범한 우등생보다 잠재력이 중요”
과학동아
l
201008
비해 올해 뽑은 학생들이 적극성, 자기주도적 사고력 분야의 점수가 의미있게 높았다.
반대
로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인 성격, 사회성이 약한 성격은 크게 줄었다.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도 비슷하다. 올해 신입생이 수업 시간에 보여 주는 태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낙천적이고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08
물질이다.물의 신비라고 하면 우리가 몰랐던 뭔가 새로운 것이겠지 싶지만 사실은 전혀
반대
다. 오히려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한 점들이다. 두 번째 물의 특징은 물의 밀도가 4℃에서 가장 높다는 점이다.보통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팽창하고 밀도는 줄어든다. 온도가 떨어지면 부피는 ... ...
앵무새의 정리
수학동아
l
201008
북극점에 선을 그으면 삼각형이 됩니다. 이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가 넘습니다.
반대
로 180°보다 작을 때도 있습니다. 말안장과 같이 생긴 곡면에 삼각형을 그리면 내각의 합이 180°보다 작습니다.이처럼 평면이냐 곡면이냐에 따라 우리가 아는 기하학이 달라집니다. 보통 평면 위에 있는 도형의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07
생각했다. 우리 은하가 우주 자체라는 그의 주장은 많은
반대
에 부딪혔다. 대표적인
반대
론자는 허셜-캅테인 모형을 받아들여 칸트의 섬우주론을 지지하는 미국의 허버 커티스였다. 커티스는 안드로메다성운에서 관측된 신성(폭발에 의해 갑자기 밝아졌다 서서히 어두워지는 별)의 밝기를 우리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