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달팽이의 봄소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보석 궁전이 코앞이야! 이번 봄엔 달순씨와 함께 보석궁전에서 살 거야. 너희들에겐 짧은
거리
겠지만, 우린 여기까지 오는데 며칠이 걸렸는지 몰라. 사람들은 나처럼 느린 친구들을 느림보 달팽이 같다고 놀리곤 하지. 하지만 느려도 한 걸음씩 오면서 아름다운세상 구석구석을 구경할 수 있었어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2발자국이 찍힌 모양을 보세요. A구간에 비해 B구간의 보행렬은 일직선에 가깝지요? 뒤뚱
거리
며 천천히 뛰던 갈리미무스가 속도를 내기위해 두 다리를 스치며 일직선으로 뛰었기 때문이에요. 발자국으로 가속도를 알아 내다니! 이런 발견은 전세계적으로 처음입니다! 갈리미무스 선수의 우승을 다시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비오는 날>(그림➋)을 보세요. 이 그림은 비가 오다 살짝 햇빛이 보이기 시작한 날의 파리
거리
를 묘사하고 있어요. 젖은 도로와 잿빛 하늘, 그리고 습기가 많은 공기가 느껴지지요?이 그림에는 원근법과 관련한 비밀이 숨어 있어요. 그림을 보면 가로등을 사이에 두고 저 멀리 있는 길의 끝까지 ... ...
열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09
들지만 걷는
거리
는 짧다. 반면에 완만한 경사의 길을 올라가면 힘이 덜 드는 대신 걷는
거리
가 늘어난다. 두 경우의 일의 크기는 같아서, 이왕이면 적은 힘으로 같은 일을 하려고 할 때 빗면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자물쇠의 핀을 들어 올리는데도 힘이 적게 드는 빗면의 원리가 사용된 것이다 ... ...
Part 4. 집에 오는 길은 힘들어
수학동아
l
201009
하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휴게소 사이의
거리
가 61.3km나 되는 곳도 있어. 휴게소 사이의
거리
가 먼 고속도로일수록 졸음운전으로 생긴 사고가 많다는 조사결과도 있더구나. 아~함, 우리도 다음 휴게소에서 잠시 쉬었다 가는 게 좋겠구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 한가위만 같아라 PART 1 ... ...
카메라에 담긴 수학, 영화사진작가에게 듣다
수학동아
l
201009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조리개가 열린 정도가 조리개값이에요. “카메라마다 렌즈의 초점
거리
가 일정하므로 빛이 들어오는 조리개 구멍의 지름을 조절하면 조리개 값이 커지고 작아져요. 맑은 날에는 빛이 들어오는 양을 줄여야 하니까 조리개값을 크게 하고 흐린 날에는 작게 해요.”작가님의 ... ...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
수학동아
l
201009
저 멀리 지평선 너머로 보름달이 떠오르는 걸 지켜보면서 소원을 빌어. 바로 여기서
거리
착시가 생겨.사람은 산이나 건물 사이에 뜬 보름달을 보면 의도적으로 달의 크기를 크게 만든다고 해. 산이나 건물같이 지구에 있는 사물보다 달이 훨씬 멀리 있다는 걸 알기 때문에 크기가 비슷하더라도 달을 ... ...
왜 국제수학자대회를 열려고 하는 걸까?
수학동아
l
201009
대해서 연구해 커다란 업적을 남겼지.다양체는 어떤 도형을 작은 구간으로 나눴을 때
거리
와 각이 있는 유클리드 공간과 닮은 구조를 가진 도형을 말한단다. 유클리드 공간은 유클리드가 연구한 평면과 공간을 뜻하는데 우리가 배우는 도형이 존재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단다.일본 수학자가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09
나오는 로봇병기 못지않은 방호력과 공격력을 얻게 된다.로봇은 최고의 전투 서포터근
거리
전투가 벌어지면 인간 병사를 최대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인간과 호흡을 맞추려면 가장 매력적인 것은 역시 사람처럼 두발로 걷고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이다. 먼 미래에는 언젠가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09
나가면 수백 광년
거리
의 별들이 넓게 펼쳐진다. 이제 온 하늘을 바라보았다. 수천 광년
거리
에 있는 수십 억개의 별이 커다란 아치를 그린다.드디어 우리은하가 눈에 들어왔다. 숨이 턱 막힐 것 같은 우리은하의 웅장함이 눈앞에 펼쳐졌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여름밤의 은하수는 남쪽 하늘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