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7건 검색되었습니다.
SEMA, 북한산에서 환경정화 활동 전개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6.19
버려진 쓰레기를 거둬가는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 김영식 이사장은 “내가 거둔
작은
쓰레기가 그 자리를 지나가는 누군가에게 상쾌함을 주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연적 선물을 후손에게 온전히 전해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과학기술인의 부단한 노력으로 우리가 편리하고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동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 제공 물론 아주
작은
분자구조의 이미지를 현미경으로 보듯 사진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레이저 펄스가 물체에 닿아 투과하거나 산란된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함으로써 그 구조적 변화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
2014.06.05
장치가 간단하고 비교적 많은 양의 평형수를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50μm보다
작은
수중생물은 처리하기 어렵고, 여과기가 막히면 이를 교체하거나 막힌 여과기를 뚫기 위한 추가 장비가 필요하다. 물리적인 처리 기술은 자외선의 살균 작용을 이용해 평형수 내의 유해생물을 비교적 저렴한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시작부터 말이 안 된다. 어떻게 이처럼 다채로운 현실이 138억 년 전에 일어난 무한히
작은
점의 대폭발(빅뱅)에서 비롯될 수 있단 말인가.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해 저명한 물리학자들이 그렇다고 하니까 그런 거지, 만일 어떤 신흥 종교 단체에서 그런 주장을 했다면 ‘저러니 욕먹지…’라며 혀를 찰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
KAIST
l
2014.05.26
저는 친구들과 함께한 시간이 가장 소중했고 기억에 많이 남아요. 카이스트에서 크고
작은
과제들을 같이 해결했던 과정이 사회에서 큰 자산이 되었어요. 그래서 사람들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활동을 많이 하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저는 택견 동아리, 게임 동아리, 기독교 동아리 등 3개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
IBS
l
2014.05.14
분말은 물을 따라 회전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뱅뱅 맴도는 경우가 있다. 물의 흐름 근처에
작은
크기의 소용돌이가 생기는 것이다. 이는 산속 개울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물가의 나뭇잎이 하류로 떠내려가지 않고 제자리에서 맴도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이를 더욱 미시적으로 살펴보면 한 방향으로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대한 논쟁과 비슷한 내용이다. 즉 검사가 정교해지면서 예전에는 알아차리지도 못했던
작은
종양들이 발견되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처지가 됐다는 것. 유관상피내암이 있어도 악성 유방암으로으로 발전할 확률은 2%에 불과하다고. 따라서 몇몇 의사들과 이들과 뜻이 맞는 환자들은 치료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별로 보고 싶어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냄새 때문이다. 보통 케이지라고 부르는
작은
집(면적이 A4용지만하다)에 생쥐가 서너 마리씩 들어있는데, 바닥에는 톱밥(나무 조각)이 깔려있고 위에는 우윳병 같은 물통이 거꾸로 꽂혀 있어 목을 축일 수 있다. 그런데 생쥐를 자세히 보려고 다가가면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딱딱딱딱. 한 달 전 쯤 아침 산책을 하려고 앞산 등산로 입구를 막 지나는데 어디선가 새가 부리로 나무를 쪼는 소리가 들려왔다. 이런 소리야 ... 제비들을 기꺼이 반겼다는 말이다. 이런 사람들의 마음이 산책로 바로 옆에 둥지를 튼 저
작은
새의 가족들에게도 이어지기를 바란다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안 되는 행동 같지만 진화학적 이유가 있다. 공룡이 지배하던 시기에 포유류의 조상인
작은
설치류는 공룡을 피해 다니는 생존 전략을 펼쳤다. 그러다 공룡이 움직임에 민감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재빠르게 도망가기보다 오히려 가만히 있는 방법으로 생존 전략을 수정했고 그 전략이 이어져온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